에이프릴바이오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을 진행하는 기업으로 한국기업데이터, 나이스평가정보 2개 기술평가기관에서 각각 A등급, BBB등급의 기술평가를 받아서 상장하게 되었습니다.
기술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시장 글에서 자세히 얘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항체 라이브러리
다양한 항체 유전자를 수집하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숙주세포인 대장균으로 구성된 항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그 후 파지디스플레이 기법을 이용하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기술
2. SAFA
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로 에이프릴바이오 동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 그리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 Fab 항체 절편을 활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플랫폼 기술
3. 알부민
간에서 만들어지며 구형의 단백질로 혈청에 존재하는 알부민을 혈청 알부민이라하며, 알부민은 생체 세포나 체액 중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면역글로불린과 함께 세포와 혈장의 기초물질을 구성합니다. 혈청 단백질 중 50~60%정도가 알부민이며, 삼투압 조절을 통해서 혈액과 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그 밖에 알부민은 조직에 영양분을 제공하며, 호르몬, 비타민, 약물, 칼슘 같은 이온과 결합하여 신체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또한 항체와 같이 생체내에서 반감기(19일)를 가지고 있어 의약품 개발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4. 반감기
생물학적 반감기는 생물학적 시스템 체내로 흡수된 성분의 양이 자연적 과정을 통해 반으로 줄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약물에서도 적용됩니다.
5. 면역원성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의 능력을 뜻하며 주로 항원의 크기 및 구조에 영향을 받습니다.
6. 물질이전 계약
Material Transfer Agreement 혹은 MTA라고도 하며 유형의 연구자원을 소유한 자와 자원을 연구 또는 평가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 사이에 체결되는 법적 구속력을 갖는 계약을 의미
7. 바이오의약품
사람이나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을 뜻하며 주로 재조합 단백질과 항체의약품이 있음.
8. 바이오베터
기존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을 개량해 편의성이나 효능을 개서시킨 의약품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효능이 동일한 바이오시밀러와 달리 오리지널을 개량해 더 나은 효능을 보이는 약물
9. 바이오시밀러
특허 만료된 항체의약품과 물리화학적 성질 및 효능이 동등한 바이오의약품을 뜻하며 항체의약품과 같은 바이오의약품들은 완전히 동일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등의약품이라고도 함.
10. 제네릭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모방하여 만든 복제약을 의미함.
11. 반독성량
시험물질을 실험동물에 투여했을 때 실험동물의 50%가 죽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독성을 나타내게 되는 투여량으로 보통 체중 kg당 mg으로 나타냄.
12. 분화클러스터154
CD154라고하며, 종양괴사인자 계열 중 하나인 CD40 리간드는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주로 발현되며, 항원제시세포의 Cd40와 상호작용을 통해 T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음.
13. 분화클러스터40
CD40이라고 하며, B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흉선 상피세포와 같은 항원제시세포 뿐만 아니라 상피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의 일반세포에서도 발현되며 CD40L와 상호작용함.
14. 항체치료제
생체 내 존재하는 항원에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항체를 이용하여 개발된 치료제로 바이오의약품의 일종으로 세포막에 존재하거나 세포 밖으로 분비 된 표적 단백질과 결합하여 약효를 나타냄.
15. 항원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의 생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생명체내에서 이물질로 간주되는 물질의 총체이며,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서 단백질이지만 다당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 자신의 몸속에 생긴 변이세포 등의 다양한 것들도 항원이 될 수 있음.
16. 항체
면역계에 있어 항원의 자극에 의하여 생체내의 B림프구 또는 B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글로불린계 단백질이며, 항원의 자극에 의해 생체에서 만들어져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종양세포 등의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원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이를 제거하도록 면역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입니다. 항체의 구조는 Y자형이며, Y자의 위쪽 두 가지에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가변 반응영역이 있으며 항원을 인지,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진단 및 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음.
17. 재조합단백질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든 단백질로 유전적 재조합이나 유전자 조작으로 형성된 재조합 DNA를 적절한 세포에 형질 전환 시켜 만든 단백질을 의미함.
▶ 회사개요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2013년 교원 창업 형태로 설립된 연구개발 중심기업으로, 인간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의약품 중 단백질 의약품에 속하는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에이프릴바이오 동사의 지분을 보면 차상훈 대표가 24.1%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장기업이자 제약과 바이오 분야의 대기업인 유한양행 11.74%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타로 분류되어 있는데 기타에서도 5%이상 주주현황을 다시보면,

SJ투자파트너스와 대교인베스트먼트의 함께 투자한 에스제이-대교 에이프릴 바이오벤처펀드 이름으로 7.26% 보유하고 있으며, LB인베스트먼트의 LB기술금융펀드1호 이름으로 7.17% 지분 보유하고 있고, TS인베스트먼트 티에스 우리-충남11호 턴어라운드 투자조합 이름으로 6.02% 지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미만인 주주를 또 다시 한번 보면

DS자산운용의 자금을 IBK, NH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탁업자 지위로 쪼개놨는데 다합치면 3.06%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다올인베스트먼트(과거 KTB네트워크)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 이름으로 2.2% 지분 보유, 프리미어파트너스 프리미어 글로벌 이노베이션 2호 투자조합 이름으로 1.74% 지분보유했습니다.
에스제이파트너스는 에스제이 뉴챌린지 펀드 이름으로 2.55% 지분 추가 보유한 상태이며, BSK인베스트먼트 BSK 6호 특허기술 투자조합 이름으로 2.23% 지분 보유, 하나금융투자 하나바이오신기술투자조합1호와 하나바이오신기술투자조합1-1호 이름으로 각각 1.66%, 1.27% 지분 보유, 이베스트투자증권 이베스트 시노 신기숥조합제일호 이름으로 2.34% 지분보유, 에스엠시노기술투자 에스엠시노 바이오포커스 투자조합과 에스엠시노기술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3.03%, 1.98% 지분보유, 우신벤처투자 1.55% 지분보유, 대교인베스트먼트도 DKI Growing Star 3호 투자조합 이름으로 1.48% 추가 지분보유한 상태이며, 미래에쿼티파트너스 미래에쿼티 제13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미래에쿼티 제14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1.48%, 1.48% 지분보유했으며,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코오롱 소재부품 투자펀드 2014-2호 이름으로 0.81% 지분보유했습니다.
회사업력이 10년 가까이되면서 상장사 유한양행과 많은 기관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았다는 것은 회사의 기술력이 좋다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상장첫날 기존에 투자했던 기관투자자들의 물량이 쏟아져나올 수 있고 또 의무보호예수기간이 1개월과 3개월이라 1개월, 3개월 보호예수 해제되는시기에 매도물량이 쏟아져나올 수 있는 오버행 우려가 있습니다.
※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언제든지 쏟아져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매도물량 이는 매도물량이 많이 쏟아져 나오기때문에 주가 하락 즉 악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사업개요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인간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의약품 중 단백질의약품에 속하는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다양한 항체를 찾아내어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과 동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 그리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Fab 항체 절편을 활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기술인 SAFA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이 2가지 기술의 조합을 통해 항체의약품, 이중항체, 지속형의약품, ADC 적용 항체 등 매우 다양한 신약후보의 제작이 가능합니다.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SAFA 플랫폼 기술과 그동안 축적된 기술역량으로 핵심 파이프라인 APB-A1 후보물질을 도출했고,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2021년 9월 미국FAD로부터 임상1상 시험에 대한 임상시험계호기을 승인받았으며, 그로부터 1개월 후인 2021년 10월 덴마크 소재의 신경질환 전문글로벌 제약사인 H.Lundbeck A/s(룬드백)과 4억 4,800만 달러(한화 약 5,936억)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는데 성공하여 SAFA 플랫폼 기술의 1차적인 사업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 파이프라인 현황

에이프릴바이오 동사의 파이프라인은 7가지가 있으며, 이중 임상 진행은 전술했던 APB-A1 기술이전했던 자가면역질환 관련입니다. 나머지 중 염증질환치료제는 임상전이고, 나머지들은 후보물질 도출 및 공정개발 단계입니다.
▷ 기술이전 현황

에이프릴바이오 동사는 현재까지 기술이전 계약을 3건 체결했으며, 1건은 전술했던 자가면역치료제 APB-A1 4억 4,800만달러규모 기술이전 계약이었고 2건은 안국약품과 임상1상과 전임상단계인 지속형hGH, 지속형 G-CSF 계약을 체결했지만 비밀유지계약으로 자세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임상1상단계에서 4억 4,800만달러(한화 약 5,936억)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한 부분은 대단한 부분이지만 자세한 계약 내용을 보겠습니다.
▷ APB-A1 기술이전 내용

임상이 중간에 실패하고 계약이 해지되더라도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돈인 계약금은 1,600만 달러(한화 약 212억)이며, 임상1상 시험물질 생산비용으로는 362만달러(한화 약 48억)이기때문에 총 1,962만달러(한화 약 260억)은 매출이 되지만 나머지 부분은 4억 3,210만 달러는 마일스톤 즉 각 임상단계가 성공하고 판매승인과 적응증 추가로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계약금과 생산비용은 2021년 매출로 인식이 되었습니다.
▶ 손익분석

바이오기업이고 기술특례상장하는 기업이기때문에 손익분석은 의미가 없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APB-A1 기술이전 계약금과 생산비용은 2021년 매출로 인식이 되어 2021년 매출액 233억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 44억을 기록했습니다. 금융비용 이는 지분투자 받았던 부분이 우선주형태로 받았었기때문에 파생상품평가손실로 인해 574억이 기록이 되면서 당기순손실 527억을 기록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7월 19~20일
상장주간사 : NH투자증권
납입일 : 7월 22일
신규상장일 : 7월 28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20,000~23,0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4.43:1
확정 공모가 : 16,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735억
바이오 기업이고 기술특례상장을 하는 부분이기때문에 2022년은 물론 향후 몇년간 매출이 발생하기는 어려워 보이지만 그래도 기술이전을 이미 3건을 한 상태이기때문에 폭발적인 매출보다는 안국약품과의 기술이전 2건 계약이 비공개되었기때문에 추가 매출발생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신규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기존에 기관투자자들의 지분투자를 많이 받았었기때문에 4,511,328주 전체주식수 대비 41.59% 상장첫날 유통가능 물량으로 많은편에 속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수요예측참여한 기관들도 하단이하로 넣었고, 확정 공모가 16,000원
확정 공모가 16,000원 기준 시가총액 1,735억 따블 시작시 3,471 따상을 기록할 경우 4,512억이 되고 2022년 1분기까지 매출은 없고 순손실 22억을 기록한 기업 아무리 기술이전 3건이 있다고 해도 이미 1건에 대한 계약금은 매출인식을 했었기때문에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어 따상 가능성은 현저하게 낮고 따상을 찍더라도 바로 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확약이 대부분이기때문에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물량 상장 첫날 시초가에 쏟아져나올수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산인더스트리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9 |
---|---|
아이씨에이치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8 |
성일하이텍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5 |
루닛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1 |
에이치피에스피 공모 청약 분석 (8) | 2022.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