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by 미틈달사흘 2021. 11. 22.
반응형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개인투자자라면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시장이 있고, 해당 기업이 코스피(유가증권) 시장,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있다는 것도 잘은 몰라도

november-3rd.tistory.com

2021.11.14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2편

 

코넥스 이야기2편

코넥스 이야기2편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개인투자자라면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자료 : KRX 홈페이지

 

▶ KOSDAQ 코스닥 시장이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의 약어입니다.

 

Securities는 증권이라고도 합니다.

 

1996년 7월에 출범한 첨단 벤처기업 중심시장이며,

미국 기술주 테슬라, 애플, 페이스북, 구글알파벳, 아마존 등이 상장해있는 나스닥 시장을 한국식으로 만든 상장시장입니다.

 

기술기업 중심으로 상장되어있어서 주요 산업은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CT(Culture Technology)가 있습니다.

 

세계 주요 신시장 중에서 가장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으로 인정받아 해외 유망기업들이 상장하는 등 질적측면에서도 우수한 시장으로 평가받고있기도합니다.

 

앞서 얘기한 IT, BT 관련 기술주와 엔터테인먼트, 소프트웨어, 게임 등 시대를 선도하는 벤처기업들이 상장되어있는 시장입니다.

 

▶ KOSDAQ 코스닥 시장 특징

 

① 기술주 중심시장

유망중소 벤처기업들에 대한 자금 조달 지원을 위해 설립된 시장입니다. 과거에는 IT H/W(하드웨어) 업종에서 IT S/W(소프트웨어) 업종 및 바이오와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고부가가치 산업의 상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② 특화된 상장정책

상장정책은 매우 다양하며, 적자기업이지만 기술중심시장으로 기술특례상장이 가능하며, 미래가치를 보고 적자기업이어도 상장이 가능한 테슬라요건 등 제1시장이라고 불리는 코스피(유가증권)시장보다는 진입장벽을 상당히 낮춘시장입니다.

 

③ 역동적인 시장

주요 신시장 중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거래대금, 시가총액 뿐만 아니라 신규상장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은 과거 글을 통해서 아실수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상장 및 공모절차부분도 과거글에서 이미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7 - [공모파헤치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코스닥 시장 상장요건

 

자료 : KRX 홈페이지

코스닥 시장의 상장요건은 일반요건도 있고 앞서 얘기드린 기술평가특례 상장도 있으며, 성장성 추천 상장 이게 테슬라 요건 상장입니다.

 

기술평가특례 상장의 경우 방법이 적자기업이지만 기술성을 인정받아야하는데 신용평가 받는것과 비슷하게 기술성 인정받는건 외부 기술평가 회사 2곳에서 기술성평가 줄여서 기평을 받아서 BBB등급 이상을 받아야합니다.

 

성장성 추천 상장 이른바 테슬라 요건 상장은 2017년 부터 시행한 제도로 국내 최초로 테슬라요건 적용받아서 상장한 회사는 2018년에 상장했고 쇼핑몰 도메인 사업을 하고 있는 카페24 이며,

 

이후 2019년 상장한 제테마, 리메드 2020년 상장한 켄코아에어로스페이스, 티에스아이 2021년 상장한 씨앤투스성진, 바이오다인, 제주맥주 입니다.

 

테슬라 요건 상장제도가 도입된지 5년정도 되었지만 10건미만인 상태이고 추천 상장제도이기때문에 앞으로도 테슬라 요건 상장제도로 상장하는 기업이 1년에 5건미만정도로만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코넥스 시장에 상장된 회사는 코스닥 이전상장 패스트트랙 제도를 활용해서 상장이가능합니다.

 

자료 : KRX 홈페이지

코넥스 이야기 2편으로 얘기드렸었지만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상장하는 기업들이 코넥스 시장이 활성화되고 자리 잡히면서 많아졌지만,

 

이전상장이후 흥행했던 기업들은 없었습니다. 또한 코넥스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 10 순위 안에 들거나 거래량이 많이 나오는 기업 순으로 이전상장들이 진행되고 있기도합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0) 2021.11.29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0) 2021.11.27
코넥스 이야기2편  (0) 2021.11.14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0) 2021.11.13
공모 절차 이해하기  (0) 202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