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기업분석

샌즈랩 공모주 청약 분석

by 미틈달사흘 2023. 2. 3.
반응형

샌즈랩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 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자료 : 샌즈랩 홈페이지

샌즈랩 동사는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 이크레더블, 나이스디앤비 기술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각 각 A등급을 받아 코스닥 시장에 특례상장하는 기업입니다.

기술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시장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용어정리
1. Data Set
데이터셋이라고 하며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된 유사하거나 관련된 데이터들의 집합체

2.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이라고 하며 패턴 인식 및 학습에 사용되는 몇 가지 베이지안 기법에 주로 적용되는 기법. 머신러닝은 데이터를 학습하고 최적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예측하며, 최종적으로는 데이터를 간결한 설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의 형태

3. Big Data
빅데이터라고 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그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를 말함.

4. CTI
Cyber Threat Intelligence의 약어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라고도 하며 현존하거나 발생 가능한 위협에 대한 대응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당 위협에 대한 맥락, 매커니즘, 지표, 예상결과 및 실행 가능한 조언 등을 포함하는 증거기반의 지식

5. 악성코드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 가능한 코드의 통칭으로 자기 복제 능력과 감염 대상 유무에 따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등으로 분류됨.

6. 안티 바이러스
컴퓨터의 바이러스 등의 악성코드를 탐지하고 방어하기 위한 유틸리티 소프트웨어로 주로 백신 및 백신 프로그램을 의미함.

7. 클라우드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 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클라우드라고도 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도 함.

8.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의 약어로 지능적이고 지속적인 공격을 가하는 해킹을 말함.

9.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어로 프로그래밍에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일련의 서브프로그램, 프로토콜 등을 정의하여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사양으로 API의 핵심은 정의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일종의 약속된 시스템

10. CTA
Cyber Threat Alliance으 ㅣ약어로 글로벌 보안 기업을 중심으로 사이버 공격에 대항하기 위해 설립한 비영리 조직이며 지능적 사이버 공격에 대한 회원사의 상황 인지력을 높이고 빠른 침해 대응 등을 목표로 함.

11. JSON
Javascript Object Notataion의 약어로 일반적으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하는 양식이며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언어에 관계 없이 통일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일정한 패턴을 지닌 문자열을 생성해 내보내면 클라이언트는 그를 해석해 데이터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온전히 저장, 표시할 수 있게 됨.

12. NDR
Network Detection And Response의 약어로 네트워크의 모든 패킷을 저장하고 분석/재현하는 솔루션으로 실시간 차단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보호하지는 못하지만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기존의 실시간 장비들에서 미탐지된 악성코드나 행위를 감지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함.

13. OSINT
Open Source Intelligence의 약어로 공개된 출처에서 얻은 정보들을 말하며, 오픈소스 인텔리전스 또는 공개정보, 공개된 정보, 공개소스정보, 오픈소스정보 등으로 불림.

14. Yara rule
문자열이나 바이너리 패턴을 기반으로 악성코드를 검색하며 이러한 악성코드를 분류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이며, C와 패턴과 같은 문법으로 Yara Rule을 작성하는 것으로 악성코드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어떠한 조건에 포함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 회사개요
샌즈랩 동사는 상장기업인 케이사인의 자회사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CTI 전문 기업으로서 다양한 채널로부터 수집한 악성코드 등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자료 : 전자공시시스템 샌즈랩 지분증권신고서

샌즈랩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상장사인 (주)케이사인 지분 60% 보유하고 있어 케이사인의 자회사이며, 케이사인과 특수관계자가 지분 94.92%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 보면

자료 : 전자공시시스템 샌즈랩 지분증권신고서

상장후 유통가능 물량으로 다시봐도 기관 투자자는 상장주간사인 키움증권 0.73% 지분 보유뿐입니다.

▶ 사업개요
샌즈랩 동사는 상장기업인 케이사인의 자회사로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CTI 전문 기업으로서 다양한 채널로부터 수집한 악성코드 등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란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위협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다음 여기서 얻은 지식에 분석력을 더해 지능을 추출하는것이라고 볼 수 잇습니다.

조사분석기관 가트너의 정의에 따르면 위협 인텔리전스는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전후 맥락, 공격 매커니즘, 각종 지표를 분석 및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의미를 부여해야합니다. 즉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끌어낸 정보를 지식으로 활용해 다양한 위협을 예측하거나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과 기술이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샌즈랩 동사가 개발하고 생성하는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는 직면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단순한 몇 가지 정보의 나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나열된 다양한 위협 정보들 속에 포함된 내외부 공격자의 공격 의지, 공격 목표, 공격 경로 등의 시나리오가 녹아 들어 단순히 단위 객체의 대응 개념보다 사이버 위협 시나리오 기반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를 제공하도록 합니다.

샌즈랩 동사가 개발한 malwres.com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를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정보제공을 해오고 잇으며, 그 외 솔루션 형태의 제품 MDX(Malware Document shield), MNX(malware Network Shield), MAX(Malware Agent Shield)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자료 : 전자공시시스템 샌즈랩 지분증권신고서

샌즈랩 동사의 매출비중은 제품매출이 대부분이며, 그중에서도 CTI 제품 관련 매출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기존 시스템 통합 유지보수하는 SI 매출비중보다 증가하면서 2021년부터는 CTI 매출이 전체매출비중에서 70%, 2022년 3분기까지 96.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자료 : 전자공시시스템 샌즈랩 지분증권신고서

샌즈랩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으로 진행하기때문에 손익분석이 의미가 없긴합니다.

2020년 매출액은 52억으로 전년대비 46.86% 증가했으며, 영업손실로 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로 전년대비 적자전환했습니다.

2021년 매출액은 54억으로 전년대비 3.1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4.8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7.3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영업비용의 증가와 감소에 따라서 적자와 흑자를 오가고 있네요.

2022년 3분기까지 매출액은 3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5.74% 감소했으며, 영업손실 9.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으며, 순손실 7.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적자전환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2월 6~7일
상장주간사 : 키움증권
납입일 : 2월 9일
신규상장일 : 2월 15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8,500~10,5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325.79:1
확정 공모가 : 10,500윈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586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3,887,500주로 전체 주식수대비 25.73% 유통물량으로 적정한 편입니다.

모회사인 케이사인 2022년 3분기까지 매출액 253억, 영업이익 37억, 순이익 28억의 실적으로 1월 30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1,308억이며, 샌즈랩 동사 확정 공모가 10,500원 기준 시가총액 1,572억 따블 시작시 3,172억 따상기록시 4,123억으로 모회사보다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등 실적면에서도 낮아 모회사를 뛰어넘는 시가총액을 기대하기는 어렵기때문에 따상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2022년 12월 공개된 대화형 챗봇 ChatGPT3.5 공개이후 2023년 1월 시장까지 ChatGPT 이슈로 인공지능, 챗봇 관련주들이 관심을 받았고 북한의 해킹이슈가 있어 정보 보안 관련 기업으로써 관심을 받을 수 있고, 조단위 기업 IPO대어 상장이슈가 있어 흥행시키려고 하기때문에 따상가능성이 있으며 수요예측 경쟁률 또한 높아 따상찍고 내리면서 마감할것같네요.

2월 3일 상장한 삼기이브이 수요예측 저조해도 땋상찍고내리면서 공모시장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첫날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나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