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미르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IP
Intellectual Property의 약어이며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이라고함.
2. 프리프로덕션
Pre-Production 애니메이션의 기획 단계로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콘티, 캐릭터 디자인 등을 결정하고 각 씬(scene)의 배열과 시간 배정을 비롯하여 액션의 구도와 화면 움직임 등을 미리 확인하고 연출자의 의도를 실무진에게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제작하는 애니메틱스까지를 포함하는 단계
3. 메인프로덕션
Main-production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제작된 애니메틱을 이용해 레이아웃을 잡고, 원화, 동화, 스캔, 채색, 합성 등 본격적인 애니메이션 작업을 의미함.
4. 포스트프로덕션
Post-production 마지막 영상제작단계이며 후반작업을 의미하며 앞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상의 편집, 합성, 자막, 음악 등 옷을 입히는 개념으로 볼 수 있음.
▶ 회사개요
스튜디오미르 동사는 애니메이션 제작 및 기획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9년 국내 기업중 처음으로 넷플릭스와 애니메이션 분야 장기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습니다.
▷ 지분현황

스튜디오미르의 지분현황을 보면 유재명 대표가 84.12% 지분보유하고 있고 기관투자자들로는 LB인베스트먼트 LB넥스트유니콘펀드 이름으로 6.09% 지분보유, 데브시스터즈벤처스와 KDB캐피탈 컨소시엄으로 데브-KDBC문화투자조합 이름으로 2.85% 지분보유, 미래에셋증권 1.42% 지분보유, 코리아 르네상스 OTT 투자조합 1호 1.25% 지분보유, 인벡스자산운용 인벡스브라이트멀티전략 전문투자형사모투자신탁 제1호 이름으로 0.73% 지분보유, NH투자증권 0.73% 지분보유, 아이비한강유한회사 0.73% 지분보유했습니다.
상장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보면,

보호예수 걸린 유통제한 물량으로는 LB 넥스트유니콘펀드 5.12% 지분과 코리아 르네상스 OTT투자조합 1.05% 미래에셋증권 0.58% 지분이며, 기존 기관투자자들은 보호예수 없는것으로 판단됩니다.
▶ 사업개요
스튜디오미르 동사는 애니메이션 제작 및 기획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19년 국내 기업중 처음으로 넷플릭스와 애니메이션 분야 장기 파트너십 계약을 맺었습니다.
지난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위쳐: 늑대의 악몽’으로 전 세계 시청자 수 7,600만명을 기록했습니다.
https://youtu.be/83o8_ZuKMik
애니메이션 제작과정은 [IP → Pre-Production → Main Production → Post Production → 시청자]로 구성되며, Pre-Production부터 Post Production까지 애니메이션 제작 전반을 담당하는 것을 총괄제작 방식, 레이아웃, 원화, 동화 등만 담당하는 것을 메인프로덕션(일반) 제작방식이라고 합니다.
스튜디오미르 동사의 경우 프리프로덕션과 메인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까지 한 번에 같이 진행하는 총괄 제작 방식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북미향 매출을 위해 헐리우드 배우를 섭외하여 미국 현지 법인에서 직접 녹음 및 포스트프로덕션 작업을 진행하여 타 경쟁업체와 차별점이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스튜디오미르 동사의 매출을 보면 애니메이션 총괄제작과 일반제작 부문으로 볼 수있는데 매출비중은 비슷하고 또 매출처는 다양하며 국내보다는 글로벌 OTT와 계약을 많이 맺은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총괄 제작 주요 작품
① DOTA2
도타 : 용의피의 경우 넷플릭스에서 2021년 3월 25일 공개된 도타2 원작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밸브의 대표 MOBA(multiplayer Online Battele Arena) 장르의 온라인 게임 도타2를 기반으로 제작했으며, 이야기와 세계관을 가장 잘 구현해내어 게임의 스토리와 역사를 즐길 수 있게 만드는 매력이 있습니다.

계약상대방 : 넷플릭스, 계약금액 약 160억, 제작기간 2019~2021년
② 위쳐 : 늑대의 악몽
위쳐 : 늑대의 악몽은 판타치 베스트셀러 더 위쳐 소설이 인기를 끌면서 그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게임과 드라마가 나온 이 후로 세계관을 확장시키는 위쳐 스핀오프 애니메이션입니다.
전 세계 1,500만 부 이상이 판매된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며, 작품의 흥행 성공으로 후속작 제작중입니다. 위 작품의 연출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인정받아, 스튜디오미르 동사의 한광일 이사는 2022 애니어워즈 베스트 스페셜 프로덕션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습니다.

계약 상대방 : 넷플릭스, 계약금액 65억, 제작기간 2019~2021년
③ 외모지상주의
한국 인기 웹툰 김태준 작가의 외모지상주의를 애니메이션화한 작품으로 개성있는 캐릭터와 주인공들의 살아 움직이는 순간을 만나볼 수 있는 작품, 여러 사회적 문제를 날카롭게 해석하는 시선으로 현대 사회의 본능적인 외모지상주의,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문제의식을 엿볼 수 있는 작품

계약 상대방 : 넷플릭스, 계약금액 64억, 제작기간 2021~2022년
▷ 총괄 제작 미공개 작품
① 작품1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은 단편 중 하나인 작품을 각색하여 세계관과 내용을 아예 모르는 시청자들이어도 즐길 수 있는 애니메이션으로 주인공과 바다 괴물들과의 역동적인 액션씬과 새롭게 등장하는 캐릭터와의 단편 러브스토리를 독립적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작의 흥행으로 제작이 결정되었으며, 실사 드라마와 애니메이션의 조합으로 스토리의 구성이 탄탄해질 예정
계약 상대방 : A사(넷플릭스), 계약금액 75억, 제작기간 2022~2023년
② 작품2
엔솔로지 시리즈로 전 세계의 애니메이션 회사들과 함께 자신들의 스튜디오 스타일을 담은 다양한 장르의 애니메이션들로 구성되며, 매 에피소드마다 제작감독과 스튜디오, 장르가 다르기때문에 다양한 화풍과 연출방식을 볼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미르 동사는 한국에서 참여한 스튜디오 중 하나로 에피소드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C사와 계약을 체결했고 넷플릭스에 이어 글로벌 OTT 플랫폼인 디즈나와도 협업을 시작하게 된 작품으로 작품규모는 작지만 디즈니와의 첫 작품이며 프리프로덕션-메인프로덕션-포스트프로덕션까지 모두 담당하게 되면서 차기작품 협상을 위한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작품
계약 상대방 : C사, 계약금액 13억, 제작기간 2022~2023년
③ 작품3
캡콤에서 출시한 게임을 원작으로 하며, 게임의 스토리와는 다른 독자적인 세계관을 가진 16부자 애니메이션으로 스타일리스 하드액션을 표방하며, 캐릭터가 반인반마로 각성하면서 가족과 얽힌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성장을 그리는 애니ㅣ메이션으로 A사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으로 동명의 게임을 원작으로 하였고 외모지상주의, 작품1과 함께 당사의 2022~2023년 넷플릭스 작품 라인업을 담당할 예정이며 기존 DOTA2의 규모를 뛰어넘는 대형계약입니다.
계약 상대방 : A사(넷플릭스), 계약금액 220억, 제작기간 2022~2024년
▷ 일반제작 주요 작품
① 슈퍼선즈
슈퍼맨의 아들 조나단 켄트와 배트맨의 아들 데미안 웨인을 하나의 팀으로 합친 슈퍼선즈는 DC코믹스의 가장인기 있는 콤비 중 하나로, 그 인기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의 미디어 작품으로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스튜디오미르 동사의 3D본부 자체 첫 매출로 3D본부 초기에는 기존 2D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풍부한 효과를 연출하기 위한 R&D 목적의 작업들이 대부분이었으나 자체 퀄리티가 올라가면서 R&D 부서에서 매출 부서로 전환되는 계기가 된 작품입니다.

계약 상대방 : B사, 계약금액 20억, 제작기간 2020~2021년
② 할리퀸할리 퀸을 주인공으로 하는 DC 유니버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으로 2019년 11월 29일 처음 공개되었고 동사가 제작하는 시즌3는 할리퀸과 포이즌 아이비가 본격적으로 연인 관계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계약 상대방 : B사, 계약금액 20억, 제작기간 2021~2022년
▶ 손익분석

2020년 매출액 170억 전년대비 22.0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5.2억 전년대비 17.12% 감소했으며 순이익 8.5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영업이익보다 당기순이익이 증가한 부분은 금융수익이 발생하면서 증가했습니다.
2021년 매출액 143억 전년대비 15.43% 감소했으며, 영업손실 19억으로 적자전환, 순이익 21억으로 전년대비 147.9% 증가했습니다. 이는 기타수익 42억이 발생하면서 영업손실이 발생했지만 순이익 그것도 전년대비 147.9% 증가했습니다.
2022년 3분기 매출액은 196억으로 2021년, 2020년 전체매출액보다도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7억 순이익 16억을 기록하고 있어 2022년 전체 매출액은 200~250억 예상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1월 26~27일
상장주간사 :미래에셋증권
납입일 : 1월 31일
신규상장일 : 2월 7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5,300~19,5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701.62:1
확정 공모가 : 19,5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004억
상장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1,268,900주로 전체주식수대비 24.63%로 유통물량은 적은편입니다.
국내 기업들과의 협업보다는 글로벌 OTT 특히 넷플릭스와 협업하는 부분과 디즈니와의 협업을 하고 있어 기대가 되는 부분이지만 확정 공모가 19,500원 기준 시가총액 1,0004억으로 낮은것처럼 보이지만 매출액과 순이익 대비해서는 고평가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미르 동사의 상장주간사는 업종평균PER를 사용하였고 유사회사로 선정한곳은 팬엔터테인먼트, 에이스토리, 스튜디오드래곤으로 콘텐츠제작사는 맞지만 애니메이션 보다는 드라마 위주로 제작하는 곳이기때문에 비교 대상이 사실은 애니플러스, 대원미디어 이런곳이 더 어울리지않은가라고 생각이 들지만,
확정 공모가 19,500원 기준 시가총액 1,004억 따블시작시 2,008억 따상기록시 2,610억이며, 기존에 상장되어있는 애니메이션 관련 기업 애니플러스 시가총액 1,700억 , 대원미디어 2,038억으로 고평가되어있다고 판단되어 따상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첫날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비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1.30 |
---|---|
삼기이브이 공모주 청약 분석 (10) | 2023.01.20 |
오브젠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1.13 |
미래반도체 공모주 청약 분석 (4) | 2023.01.13 |
티이엠씨 공모주 청약 분석 (10) | 2023.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