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빗켐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2차전지
방전이 되면 사용 불가능한 일회적인 1차전지와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2회이상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전지보다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이며 전기차, ESS(Energy Storage System), IT/Mobile 기기 등에 사용되고 있음.
2. 리튬이온전지
리튬이온을 이용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차전지, 리튬이온전지는 4가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어있음.
3. 양극활물질
NCM이라고도 하며 배터리의 용량과 출력 등을 결정하는 핵심소재로 리튬이온전지 생산원가의 40%가량에 달해 배터리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물질로 양극재로도 표현되며, 양극활물질은 전구체에 리튬을 결합하여 생산됨.
4. 전구체
P-CAM 이라고도하며 양극재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이 사용되며 리튬을 더하면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중대형 전지의 경우 원가의 40%는 양극재지만 양극재 재료비의 70~80%는 전구체가 차지하고 있음.
5. 폐전지재활용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사 등으로부터 공정불량품을 수거하여 이차전지 핵심 원료인 Ni(니켈), Co(코발트), Mn(망간), Li(리튬) 등의 원소재로 분해하여 고객이 요구하는 스팩에 맞게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전구체 원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용매와 혼합하여 복합액 형태로 판매되는 사업을 총칭함.
6. 폐양극재
폐배터리의 양극재를 말하며 폐배터리는 전기차의 2차전지 배터리로 성능이 떨어져 수명을 다한것을 말하는데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평균 7~10년 정도이며,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18년부터 폐배터리가 배출되기 시작했습니다. 새빗켐 동사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페배터리를 분해하여 2차전지 양극재 소재인 니켈, 코발트, 망간, 리튬 등을 재활용 생산하고 있음.
7. 전구체복합액
2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의 원료인 전구체의 핵심소재로 폐배터리를 분해하여 나온 검은색 파우더 중 니켈, 코발트, 망간을 분리하고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 후 황산에 녹여 액체상태로 판매하는 제품
8. 인산(H3PO4)
P2O5 오산화인과 H2O 물의 반응으로 만들어지고 물에 잘 녹고, 독성은 없지만 인산의 증기를 장기간동안 흡입하면 중독을 일으키며 비료 외에 각종 공업요으로도 사용되고 있음. 새빗켐 동사의 인산소재 함량은 65%, 75%, 85%를 생산하고 있음.
9. 인산암모늄(1조복합비료)
NH3 암모니아 기체 포집하기 위해 H3PO4 인산 분사하여 만들어진 원료로 반응기에 인산 잔량 15~20% 추가 투입 후 제품화한 액상, 비료 원료로 사용됨.
10. 질산나트륨(NaNO3)
질산소다라고도 부르며, 380℃에서 산소를 방출하여 아질산이 되며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며 용해도는 온도가 상승하면 용해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재결정법으로 순도를 높일 수 있음. 주로 번개탄 등 착화제 원료로 사용하고 있음.
11. 초산(CH3COOH)
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1가의 약산이며 자극성이 강하고 신맛을 가지고 있는 무색의 액체로 96%이상의 순도가 높은 초산은 동절기에 빙결되기 때문에 빙초산이라고도 하며, 식초는 5%의 초산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물, 알코올 및 에테르에 잘 녹으며 많은 유기물을 용해합니다. 묽은 용액이나 증기에 닿아도 인체에 유해하기때문에 주의를 요하며 염색체 또는 핫팩의 원료로 사용됨.
12. 전해연마액(EP액)
알곤 용접 후 열에 의해 그을린 표면과 용접으로 인해 생성된 탄화물 등의 산화물질을 전기 분해하여 원래의 금속 표면을 복원시키고 금속표면을 보호하는 액체
13. 가성소다(NaOH)
인견, 종이, 펄프, 비누, 함성섬유 등의 제조를 위한 원료 및 보조제, 향료, 농약, 의약품 제조, 유지의 정제에 이용되고 있고 산 및 산성욕애의 중화제로 사용됨.
▶ 회사소개
새빗켐 동사는 폐수처리 약품 사업을 시작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을 재활용하여 비료 원료가 되는 인산 등을 생산하는 사업을 영위했었고,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하고 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지분현황으로 보면 크게 기업이나 기관투자자가 없지만, 다시 유통주식수 현황에서 주주를 보면
유통가능 물량에서 더 지분이 자세하가 나왔는데 기관투자자로는 상장주관사인 한국투자증권 지분4.03% 보유했으며, 코너스톤벤처스 코너스톤혁신3호신기술조합 이름으로 3.15% 지분 보유해습니다. 개인투자자같긴한데 안길영 이라는 분 외 5인으로 6.86% 지분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사업소개
새빗켐 동사는 폐수처리 약품 사업을 시작으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산을 재활용하여 비료 원료가 되는 인산 등을 생산하는 사업과 폐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양극활물질을 정제하고 분리하여 전기차에 적용되는 리튬이차전지의 부원료로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현재 새빗켐 동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크게 폐전지 재활용 사업과 폐산 재활용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폐전지 재활용 사업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제조사등으로부터 공정불량품을 수거하여 이차전지 핵심 원료인 Ni 니켈 Co 코발트 Mu 망간 Li 리튬 등의 원소재로 분해 고객이 요구하는 스팩에 맞게 혼합하여 판매하거나 전구체 원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용매와 혼합하여 복합액 형태로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으며 새빗켐 동사가 보유한 폐전지 재활용 기술은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배터리 원재료의 수급을 원활하게 2차전지 제조 밸류 체인에 핵십적인 사업임과 동시에 급증하는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폐산 재활용 사업
새빗켐 동사가 취급하는 폐산은 폐기물 관리법상 지정폐기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처리되는 생활폐기물과 달리 지정폐기물은 적정하게 처리되지 못하는 경우 환경 오염 등의 우려가 이어 물적과 인적 설비를 갖추어 인허가를 받은 민간 사업자 위주로 폐기물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새빗켐 동사가 영위하는 폐산 재활용 사업은 다양한 종류의 지정 폐기물 중 각종 폐산을 수집, 운반, 처리 및 재활용을 통해 오염을 방지하고 자원 순화율을 제고하는 사업입니다.
동사가 취급하는 폐산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식각공정에서 발생합니다. 식각공정은 포토공정에서 구성한 회로를 완성하기 위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주는 공정으로서 동사가 취급하는 폐산은 식각공정에서 사용되는 인산계 식각액입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서 발생된 폐산은 재활용 공정을 거쳐 인산, 인산암모늄, 초산, 질산나트륨 등으로 분리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해당 제품들은 비료원료 및 공업용 연마제 등에 사용됩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매출 비중을 보면 폐산에 대한 비중이 2019년까지는 컸었지만 2020년부터는 폐전지 재활용에 대한 매출도 발생하면서 전체 매출에서 45~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관련 법안들이 통과되면서 다양한 산업군에 대해서 확대되어 매출폭도 증가되고 매출비중도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2022년 3월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회사로부터 동사의 주요 제품인 전구체 복합액에 대한 부품 납품 승인을 수령했으며, 2022년 6월 상기한 회사를 포함한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회사 2개회사와 리사이클 원료 공급을 위해 설립한 합작법인과 리사이클 원료 및 전구체 복합액 공급을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동사의 기술 완성도에 대한 인증을 받기도 했습니다.
여기서 MOU 양해각서는 실제 납품 본계약이 아닌 서로 협력한다라는 뜻이기때문에 납품 본계약이 나와야 큰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손익분석
2020년 매출액은 209억으로 전년대비 34.8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6억으로 전년대비 67.26%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21억으로 전년대비 131.3% 증가했습니다.
2021년 매출액은 333억으로 전년대비 59.24%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55억으로 전년대비 112.07%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44억으로 전년대비 107.53% 증가했습니다.
2022년 1분기 매출액은 102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2.3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34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99.39% 증가했고, 순이익은 2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46.07% 증가했습니다. 2022년 1분기 실적으로 보면 실적이 폭발적으로 증가한것을 보여주고 있고 외형성장은 계속 해오고 있다는것도 알 수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매출기준으로 단순하게 연환산해봐도 올해 매출은 400~500억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되며, 순이익은 70~100억정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7월 26~27일
상장주간사 : 한국투자증권
납입일 : 7월 29일
신규상장일 : 8월 4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25,000~30,0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670.9:1
확정 공모가 : 35,000원
확정 공모가기준 시가총액 : 1,665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1,626,454주로 이는 전체 주식 대비 34.18% 첫날 유통물량은 적정한편입니다.
폐배터리에 대한 법안이 통과되고 폐배터리에 관심이 많아진 상태이기도 해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국내 대형 배터리 소재 회사와 양해각서 체결한것도 부각되면서 폐배터리 테마로 편입될 것으로도 판단됩니다.
수요예측의 참여한 기관투자자들 의무보유 확약이 36.9% 제시했기때문에 첫날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의 물량은 적게 나올것으로도 판단되며,
확정 공모가 35,000원 기준 시가총액 1,665억 따블 시작시 3,330억, 따상 기록시 4,329억 2022년 매출 400억, 순이익 70~100억 기록하는 회사치고는 고평가되어있다고도 판단되기때문에 따상가능성은 낮으며, 폐배터리 테마로 편입되어 따상을 기록하더라도 따상이 금방 풀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성하이텍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2.08.08 |
---|---|
에이치와이티씨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26 |
수산인더스트리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9 |
아이씨에이치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8 |
에이프릴바이오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