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비인베스트먼트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관리보수
투자조합 등을 운영함에 있어 조합의 GP(업무집행조합원)이 벤처 기업을 발굴하고 심사하는 등의 일상적인 노동력에 대한 보수로서 조합결성 금액 또는 투자잔액의 일정비율로 업무집행조합원에 지급하는 보수
2. GP
General Partner의 약어로 업무집행조합원이라고 하며 투자조합을 구성하는 출자자 중 조합의 채무에 대하여 무한책임을 지는 조합원으로 조합규약이나 조합결의에 의해 자기의 이름으로 조합(펀드) 재산을 관리하는 사원
3. LP
Limited Partner의 약어로 투자조합을 구성하는 출자자 중 출자액 한도로 유한책임을 지는 출자자
4. 기준수익률
PEF에 투자하는 투자자의 목표수익률을 말하며, 목표수익률은 GP가 LP에게 제시하는 운용수익률이며, 이 기준 수익률을 초과하는 운용성과가 나와야 성과보수를 받을 수 있음.
5. IRR
Internal Rate of Return의 약어로 조합원의 출자 등으로 조합이 운용하는 금액의 현재가치가 조합원에게 분배 등을 통해 조합원이 회수하는 금액의 현재가치와 동일하게 되는 할인율로서 조합의 내부수익률을 의미함.
5. 메자닌펀드
메자닌이라는 말은 건물의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호텔 라운지를 의미하는 이탈리아어로 채권과 주식의 중간 위험단계에 있는 상품에 투자하는 펀드로 CB(전환사채), BW(신주인수권부사채), EB(교환사채), RCPS(상환전환우선주) 등 주식 전환 관련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6. 모태펀드
기업에 직접 투자하기보다는 개별펀드에 출자하여 직접적인 투자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하는 펀드이며,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한국벤처투자(주) 정부 기관이 관리하고 운영중인 펀드를 의미하며, 벤처캐피탈이나 창업투자회사가 투자할때 모태펀드의 자금을 일부 받아서 투자하기도 함.
7. Buy-Out
바이아웃은 기업의 지분 상당부분을 인수하거나 기업 자체를 인수한 후 대상 기업의 정상화나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기업 가치 제고 후 매각하여 수익챙기는 것을 말함.
8. 벤처캐피탈
Venture Capital을 VC라고도 하는데, 고도의 기술력과 장래성은 있으나 경영기반이 약해 일반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조달 받기 어려운 벤처기업에 무담보 주식투자 형태로 투자하는 기업 또는 자본을 말함.
9. 성과보수
조합운영 결과에 따라 지급되는 성과에 대한 부분으로 조합설립시 관련 규약에 의거 관리보수와는 별도로 지급되며 일반적으로 조합의 내부수익률 기준을 충족시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지급됨.
10. 신기술사업금융업자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거하여 설립가능하며, 상법상 주식회사로서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투자 및 여신을 제공하며, 투자조합을 결성하여 운영할 수 있음.
11. PEF
Private Equity Fund의 약어로 사모펀드라고도 하며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자금을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공모펀드와 달리 소수 49인미만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펀드라고 하는데 PEF는 사모펀드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음.
PEF는 크게 기관전용 사모집하투자기구와 일바 사모집합투자기구로 나눌 수 있음.
12.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투자대상 기업에 대한 경영참여 및 구조조정 등으로 기업의 가치제고를 통한 이익 추구를 바탕으로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13. 전문투자형 사모집합투자기구
일종의 헤지펀드로서 주로 상장주식 및 채권 등에 차익거래, 지분투자 등 빠른시일 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유동자산에 투자하여 단기간내에 차익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14. 세컨더리 마켓
일반적으로 유통시장 즉, 증권거래소를 의미하기도 하나 넓은 의미로 주식등의 지분증권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함.
15. 세컨더리 펀드
벤처기업에 신주 그러니까 유상증자로 직접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액셀러레이터나 벤처캐피탈 혹은 회사 임원들이 보유한 기존 주식 구주를 매입하는 펀드
16. 앵커 출자자
펀드 전체 약정액의 50%이상의 자금을 대는 기관투자자를 의미하며, 국내 주요 앵커 출자자로는 한국모태펀드, 성장사다리펀드, 산업은행, 국민은행 등이 있음.
17. LCC
Limited Liability Company의 약어로 유한회사라고 하며, 최소한 2인이상의 사원이 그들의 출자가액을 한도로 출자의무를 부담하는 회사로써 주로 해외 기관투자자들은 LCC형태로 설립되어있음.
18. AUM
Asset Under Management의 약어로 운용자산이라고 하며 운영중인 조합의 전체 출자금액의 합계액을 말함.
19. 집합투자기구
2인 이상에게 투자권유를 하여 모은 금전 등을 투자자로부터 일상적인 운용지시를 받지 아니하면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투자대상자산을 취득, 처분 등의 방법으로 운용하고 그 결과를 투자자에게 배분하여 귀속시키는 것을 의미함. 통상 집합투자기구를 펀드라고도 함.
20. 출자금
출자금은 약정금액과 납입금액으로 나눌 수 있고 출자약저금은 각 LP가 조합 및 펀드에 출자이행을 확약한 금액이며, 납입출자금은 출자약정금 중 출자의무의 이행으로써 펀드에 실제로 납입한 금액
21. Fund of Funds
펀드 오브 펀드로 재간접펀드라고도 하며 펀드에 투자하는 펀드로 많은 다른 펀드들은 그 투자대상으로 함.
▶ 회사개요
엘비인베스트먼트 동사는 범LG가로 분류되는 LB그룹, LB그룹의 상장사로는 엘비세미콘, 엘비루셈이 있으며, 핵심이자 지주사인 (주)엘비의 자회사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이며, 벤처투자조합 등 조합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투자 및 PEF 결성 및 운영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엘비인베스트먼트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범LG가의 LB그룹 그중에서도 핵심이자 지주사인 (주)엘비 기업의 자회사입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 보면,

구주매출 6.63% 신주매출 13.26%를 진행하고 기관투자자는 상장주선인 물량뿐입니다.
▷ 모회사 (주)엘비 지분현황

엘비인베스트먼트와 기존 상장되어있는 엘비세미콘, 엘비루셈의 모회사인 (주)엘비의 지분현호아을 보면 구인회 LG그룹 창업주 손자 구본천 부회장과 가족인 구본완, 구상모, 구인모 지분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모회사 (주)엘비 종속회사

엘비의 종속회사로는 상장을 진행하고 있는 엘비인베스트먼트 뿐만아니라 엘비자산운용과 엘비프라이빗에쿼티 그리고 엘비세미콘, 엘비리켐이 있습니다. 상장사인 엘비루셈은 엘비세미콘이 최대주주로 손자회사로 볼 수 있습니다.
▶ 사업개요
엘비인베스트먼트 동사는 범LG가로 분류되는 LB그룹, LB그룹의 상장사로는 엘비세미콘, 엘비루셈이 있으며, 핵심이자 지주사인 (주)엘비의 자회사로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금을 제공하는 벤처캐피탈로 벤처투자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이며, 벤처투자조합 등 조합결성을 통한 창업초기 기업투자 및 PEF 결성 및 운영을 주력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벤처캐피탈은 국내 관련법에 의거해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전문회사, 유한책임회사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 벤처캐피탈 투자구조

▷ 사업구조

엘비인베스트먼트 동사의 사업구조는 크게 펀드조성, 투자 및 관리, 투자회수로 이어지는 단계로 이루어져있으며, 추가로 투자재산의 분배 및 해산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운용조합 및 PEF 현황

현재 VC 조합으로는 11개 PEF는 1개 운용중이며, AUM 운용자산은 1조원을 넘었습니다.
▶ 손익분석

엘비인베스트먼트와 같은 벤처캐피탈, 창업투자회사는 투자한 기업들이 상장을 하거나 지분매각 등으로 자금회수를 해야하기때문에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등 실적이 매년 들쑥날쑥합니다.
2021년 매출액 493억 전년대비 76.5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310억으로 전년대비 108.3% 증가, 순이익 245억으로 전년대비 108.6% 증가했습니다.
2022년 3분기 매출액 17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5.0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 7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4.17% 감소했으며, 순이익 5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5.46% 감소했습니다.
2021년까지는 벤처캐피탈, 창업투자회사들의 투자금 회수를 많이하던해로 매출이 증가했지만 2022년 하반기부터 공모시장도 분위기 안좋아지면서 투자금 회수가 2021년보다는 덜했기때문에 매출액이 낮아진것으로 판단되며 2023년 올해도 벤처캐피탈, 창업투자회사 투자 감소도하고 있고 잠깐 좋았던 공모시장이 다시 증시 약세로 안좋아지고 있어 올해 매출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3월 20~21일
상장주간사 : 미래에셋증권
납입일 : 3월 23일
신규상장일 : 3월 29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4,400~5,1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298.41:1
확정 공모가 : 5,1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184억
신규상장 첫날 유통가능주식수는 4,618,047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19.895로 유통물량은 적은편입니다.
4년만에 상장 재도전하는 엘비인베스트먼트, 이미 지난해 상장을 했던 케이티비네트워크 시가총액 5,800억으로 상장을 했었고 공모분석글에서 1조원 기업가치는 무리라고 했었습니다. 이후 지난해 상장한 스톤브릿지벤처스 또한 상장흥행을 못했었습니다.
스톤브릿지벤처스의 경우 시가총액 1,429억으로 상장을 했지만 공모가 8,000원보다 낮게 시작해서 흥행을 못했었고, 스톤브릿지벤처스는 유통물량이 케이티비네트워크 보다는 많았지만 엘비인베스트먼트 동사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확정 공모가 5,100원 기준 시가총액 1,184억 따블시작시 2,368억 따상기록시 3,078억이며, 올해도 벤처캐피탈, 창업투자회사 업종들의 투자금 회수와 투자시장이 좋지못하기때문에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따상가능성은 낮지만 스톤브릿지벤처스와 다올인베스트먼트(케이티비네트워크)와 다르게 따상찍고 내릴 수 있습니다.
또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첫날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투나노 공모주 청약 분석 (10) | 2023.04.13 |
---|---|
지아이이노베이션 공모주 청약 분석 (4) | 2023.03.20 |
금양그린파워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3.02.28 |
자람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분석 (15) | 2023.02.20 |
바이오인프라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