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팀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 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배터리팩
여러 배터리셀을 하나로 합쳐 외부 환경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특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며 전기차에서의 배터리팩은 여러 개의 셀이 모여 배터리 모듈을 만들고, 배터리 모듈 여러개를 다시 묶어 완성함.
2. OBC
On-Board Charger의 약어로 충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수신받으며, 이를 적절한 수준의 DC전압으로 변환하여 DC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하여 빠른 충전이 가능하게 함.
3. ICCU
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의 약어로 OBC에 LDC 기능을 합친 장치로 통합충전시스템이며, LDC는 고전압의 DC를 저전압의 DC로 변환하여 차량 내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부품으로 V2L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임.
4. PTC 히터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의 약어로 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저항이 함께 커지면서 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온도를 낮추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은 낮아지고 전류의 양은 증가되어 다시 발열이 시작되는 원리의 발열체임. 전력 소모가 적고 고온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없다는 것이 특징임.
5. BMA
Battery Mangaement System의 약어로 배터리 온도 측정 및 가열, 냉각제어, 배터리셀 고장검출, 주행 중 과방전 방지, 낮은 충전상태에서 배터리 고전력 소비방지 등 종합적으로 배터리를 관리하는 배터리관리 시스템
6. 폴리머
한 종류 또는 수 종류의 구성 단위가 서로에게 많은 수의 화학결합으로 중합되어 연결되어 있는 분자로 되어있는 화합물
7. 필러
고분자재료의 물성, 성형가공성, 경제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고분자 중에 분산시키기 위해서 각종의 형상으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무기 또는 유기재료의 총칭
8. 사이니지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를 말하며, ICT와 결합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기존 옥외 광고물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라고도 함.
9. 열폭주
온도 변화가 그 온도 변화를 더욱 가속시키는 방향으로 환경을 변화시키는 상태를 말하며,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내부의 분리막이 붕괴 되면서 폭발 및 화재가 일어나는데 주변 인접한 셀까지 영향을 미쳐서 열폭주 현상이 발생함.
▶ 회사개요
나노팀 동사는 열관리 소재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나노팀 지분현황을 보면 최윤성 대표 59.93% 지분보유했고 기관투자자들을 보면 기술보증기금 8.51% 지분보유, 아주IB투자 아주좋은기술금융펀드, 아주좋은그로쓰2호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7.07%, 5.66% 지분보유, 모빌리티 제1호 투자조합 4.46% 지분보유, NH투자증권과 아주IB투자 컨소시엄 엔에이치-아주디털혁신펀드 이름으로 4.24% 지분보유, 한국투자 성장기업 신기술사업투자조합 1호 3.75% 지분보유, 아델케이파트너스신성장제1호조합 2.25% 지분보유했습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 보면

모빌리티제2호 투자조합 0.53% 지분보유했으며 프리IPO로 들어온 대신증권 0.92% 지분보유, 하이투자증권 0.92% 지분보유, 이베스트투자증권 0.92% 지분보유, 한국투자 지니 Pre-IPO 밸런스 사모신탁2호 0.46% 지분보유했습니다.
▶ 사업개요
나노팀 동사는 열관리 소재의 개발,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열전도는 물질 내에서 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열이 이동하는 것으로 열관리 소재란 이러한 열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기기 및 부품 등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열을 전자 디바스의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열의 전송 경로에서 열이 양호하게 전송되도록 중개적 역할을 하는 소재를 의미합니다.
나노팀 동사의 제품은 발열이 발생하는 발열 부품과 방열판 사이의 빈 공간을 메움으로 열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게 방열판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일반적인 방열제품와 다르게 자동차는 사막으로부터 한냉지까지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진동을 수반하므로 자동차용 열관리 소재에 대해서는 내열성, 내한성, 내진성도 요구되고 있고 자동차 경량화 추세에 따라 저비중 제품을 요구하고 있고 나노팀 동사는 이 분양에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어서 가장 저비중의 제품을 최저의 가격에 공급함으로 높은 시장점유율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을 넘어 해외시장을 빠르게 개척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노팀 동사가 판매하는 전기차용 열관리 소재는 효율적 열관리를 보조함으로써 전기차의 급속충전을 가능하게 하며, 저비중 특성으로 차체 무게를 낮추며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키므로 화재발생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나노팀 동사의 열관리 소재 제품은 배터리 모듈(히트소스)와 배터리팩 내 쿨링자켓(히트싱크)사이에 위치하여 두 매개체 사이의 빈 공간을 메꿔준다는 의미에서 고체형태는 갭패드, 액상형태는 갭필러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① 갭필러
액상형태이며 배합과 주입 공정을 통해 얻은 배합물을 플랫폼 기반 전기차 배터리 방열소재로 사용함
② 갭패드
고체형태이며 배합을 하고 성형과 컷팅 공정을 통해 얻은 배합물이자 필름 형태로 파생되는 EV 전기차용 배터리 방열소재와 가전, 사운드바, 사이니지용 방열소재로 사용함.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나노팀 동사의 매출을 보면 갭패드 매출 비중이 컸지만 2020년부터 갭필러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2021년에는 전체매출 대비 37.02% 매출을 차지하고 있고, 2022년 3분기까지 전체매출액에서 갭필러 매출비중이 58.35%로 증가했습니다.
▶ 손익분석

2020년 매출액 145억으로 전년대비 97.2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22억 전년대비 411.77% 증가했으며, 순손실 14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전환했습니다. 이는 금융손익 36억이 발생하면서 순손실이 발생했습니다. 금융비용이 크게 나온 이부분은 이자비용보다는 기관투자자들의 우선주 투자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1년 매출액 270억으로 전년대비 86.0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44억으로 전년대비 103.16% 증가했으며, 순이익 45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2022년 3분기까지 매출액은 26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6.1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24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0.03% 감소했으며, 순이익 3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4.51% 증가했습니다. 매출액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한 부분은 매출원가율이 10% 증가하면서 매출총이익이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습니다.
2022년 3분기까지 매출액이 266억으로 4분기까지 합쳐지면서 전체매출액은 2021년 매출액 270억보다 높게 나오면서 300억대를 기록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2월 20~21일
상장주간사 : 한국투자증권
납입일 : 2월 23일
신규상장일 : 3월 3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1,500~13,0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723.21:1
확정 공모가 : 13,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2,490억
상장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4,173,748주로 전체주식수 대비 21.79% 유통물량은 적정한 편입니다.
프리IPO로 대신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이 투자했었고, 이때 당시 주당 가격 12,700원이었기때문에 13,000원으로 확정공모가를 정했어야 프리IPO 들어갔던 증권사들 손실을 피할 수가 있어 확정공모가 13,000원으로 정해진것 같네요.
나노팀 동사가 방열 관련 제품 시장점유율이 높다고는 하나 2022년 전체매출액 300억의 영업이익 30~40억 순이익 또한 30~40억으로 높은 시장점유율이라고 말하지만 매출액 자체가 낮아 시장자체가 낮은것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고,
확정 공모가 13,000원 기준 시가총액 2,490억, 따블시작시 4,980억 따상기록시 6,474억으로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따상가능성은 낮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람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분석 (15) | 2023.02.20 |
---|---|
바이오인프라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2.17 |
오아시스 상장 철회 (14) | 2023.02.13 |
이노진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2.08 |
제이오 공모주 청약 분석 (6)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