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아이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Article 6 paragraph 2 사업
6.2조 사업이라고도 하며 파리협정 제6조 2항의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사업을 의미하며, 파리협정의 당사국 간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국가간 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을 의미함.
2. Article 6 paragraph 4 사업
6.4조 사업이라고도 하며 파리협정 제6조 4항의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사업을 의미하며, UNFCCC의 관리하에 있는 감축메커니즘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을 의미함.
3. A6.2ER
Article 6 paragraph 2 Emission Reduction, 6.2조 사업에서 발행되는 탄소배출권
4. A6.4ER
Article 6 paragraph 4 Emission Reduction, 6.4조 사업에서 발행되는 탄소배출권
5. CBAM
Carbon Border Adiustment Mechanism의 약어로 탄소국경조정제도로 EU로 유입되는 역외 생산제품에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제도
6. CDM 사업
Clean Development Mechanism의 약어로 청정개발체제 사업이며 교토의정서 제12조에 의거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 및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협력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제도로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받은 선진국들이 감축 목표가 없는 개발도상국에 자본과 기술을 투자하여 발생한 온실가스 감축분을 자국의 감축 목표 달성으로 활용함.
7. 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의 약어로 배출량 감축 실적이라고 하며, UNFCCC에서 인증한 CDM 사업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8. tCO2e
온실가스 배출량을 이산화 탄소로 환산한 양을 의미하는 이산화탄소환산량으로 온실가스에 GWP를 고려하여 tCO2로 환산한 단위
9. COP
Conference of Parties의 약어로 당사국총회라고 하며, UNFCCC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당사국 정부대표들이 모여 협약을 검토하고 제도적, 행정적 결정을 내리는 회의기구
10. DOE
Designated Operational Entity의 약어로 CDM의 사업 운영기구로 사업제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CDM Executive Board에 의해 지정된 독립적 검증 기관으로서 CDM 사업의 사업 타당성을 확인하고,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적합하게 MRV가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함.
11. GS
Gold Standard의 약어로 자발적 탄소배출권 발행 기관 중 하나로서 WWF 등의 환경 NGO 단체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감축사업자는 이 곳을 통해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발급받을 수 있음.
12. i-KCU
international-Korean Credit Unit의 약어로 해외 상쇄배출권이라고 하며, 할당 상업체가 정부에 제출할 수 있는 용도로 전환된 배출권
13. i-KOC
international-Korean Offset Credit의 약어로 해외 외부 사업 인증실적이라고 하며 해외 CDM 사업을 통해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실적 중 환경부 장관이 최종적으로 인증한 감축실적
14. ITMO
Internationally Transferred Mitigation Outcome의 약어로 UNFCCC의 파리협정 6조에서 정한 바 대로 추진한 사업으로부터 발생한 탄소 감축실적으로 국제적으로 이전이 가능한 감축 실적
15. KAU
Korean Allowance Unit의 약어로 할당배출권이라고 하며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할당대상업체로 지정된 업체에게 할당되는 탄소배출권
16. KCU
Korean Credit Unit의 약어로 상쇄배출권이라고 하며 할당대상업체가 정부에 제출용으로 전환한 탄소배출권
17. K-VER
Korean Volutary Emission Reduction의 약어로 국내 온실가스 배출감축 사업이라고 하며, 지식경제부가 민간기업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정적 인센티브를 주는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제도
18. MRV
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의 약어로 탄소배출량 측정, 보고, 검증을 말하는 것으로 배출량 측정, 보고, 검증을 통해 사업의 투명성을 판정하는 도구
19.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의 약어로 국가 자발적 기여라고 하며 파리협정에 참여한 국가들이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온ㄴ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
20. OTC
Over The Counter의 약어로 장외거래를 말하며, 공개된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양 당사자가 장외에서 하는 거래
21. PDD
Project Design Document의 약어로 사업계획서라고 말하며, CDM 사업과 관련된 정보를 담은 문서로 UNFCCC에 사업등록을 위해 제출함.
22. RE100
Renewable Energy 100의 약어로 기업들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가능한 에너지로 사용하자고 하는 자발적인 캠페인
23. Scope3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배출원을 Scope1, 2, 3로 구분했으며 Scope1은 기업의 직접 배출원으로 사업장 내에서 사용된 화석연료로 인해 직접적으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온실가스, Scope2는 간접 배출원으로 사업장이 전기 및 열을 구매해서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그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Scope3은 사업장 외부 배출원으로 기업의 광범위한 경영활동 과정과 밸류체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로 기업이 직접적으로 통제지는 못하는 온실가스 배출
24. SDM
Sustainable Development Mechanism의 약어로 지속가능한개발 매커니즘이라고 하며, 파리 협정에서 정한 CDM 이후의 체제로서, 선진국을 포함한 모든 UNFCCC 가입 국가에서 사업 추진이 가능한 매커니즘
25. VOC
Verified Carbon Units의 약어로 자발적 탄소시장 크레딧 매커니즘 중 하나로서 자발적배출권 발행 기관 중 하나인 Verra에서 발행 및 인증한 감축 실적
26. 파리협정
20215년 12월 12일 파리에서 열린 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본회의에서 195개 당사국이 채택한 협정으로 1997년 채택한 교토의정서를 대체함.
▶ 회사개요
에코아이 동사는 환경에 대한 전문 기업으로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환경컨설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전종수 전 대표와 그의 친인척 지분이 69.93% 지분보유, 하상선 이사 8.35%, 이수복 대표 2.75%, 현성완 이사 2.62%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봐도 기관투자자 지분은 없었습니다.
▶ 사업개요
에코아이 동사는 환경에 대한 전문 기업으로 온실가스 감축사업과 환경컨설팅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① 온실가스 감축사업
국제적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온실가스를 감축, 흡수제거 하는 사업으로 에코아이 동사가 발급받는 탄소배출권의 종류로는 CERs, KOC, i-KOC, VCS, VER이 있습니다.
에코아이 동사가 추진하는 주요 온실가스 감축 사업은 가정에 고효율 취사도구 설비를 보급하는 고효율 쿡스토브 보급사업, 가스 누출을 방지하는 PNG 메탄가스 누출 방지사업, 조림 및 재조림의 맹그로브 조림사업, 재생에너지 관련 수력 및 바이오매스 발전 사업, 산업공정에서의 F-gas 회수사업, 농축산업의 축산분뇨 및 농업부산물 활용, 바이오차 생산사업이 있습니다.
③ 환경컨설팅 사업
배출권거래제 내 기업들에게 탄소배출권의 운용방안 및 정보플랫폼 서비스, 배출권거래제 대응을 위한 배출권 할당관리와 온실가스 감축 컨설팅,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관련 환경규제대응 자문, 환경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보제공 및 플랫폼 구축 서비스,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용역수수료를 받는 사업입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 손익분석
2022년 매출액 601억 전년대비 122.7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200억으로 전년대비 97.12% 증가했으며, 순이익 155억으로 전년대비 94.57% 증가했습니다.
2023년 반기매출액 53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4.1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19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3.84% 증가했으며, 순이익 15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3.83% 증가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11월 10~13일
상장주간사 : KB증권
납입일 : 11월 15일
신규상장일 : 11월 21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28,500~34,7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75.14:1
확정 공모가 : 34,7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3,429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2,423,078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24.52%로 유통물량은 적은 편입니다.
상장주간사에서는 상대가치평가 방법 중 PER 방식으로 공모가 밴드 산정했으며, 유사회사로는 에코프로에이치엔, CECO Environmental, 지앤비에스에코로 선정했으며, 시가총액은 각각 8,700억, 1조 5,000억, 400억입니다.
확정 공모가 34,700원 기준 시가총액 3,429억, 공모가 60% 20,820원 기준 시가총액 2,057억, 공모가 400% 138,800원 기준 시가총액 1조 3,718억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시가총액 8,700억인 에코프로에이치엔의 경우 물론 필터사업과 미세먼지 저감솔루션으로 사업이 조금 다르지만, 반기매출액 1,160억, 영업이익 231억, 순이익 181억으로 매출액은 에코아이 동사보다 월등하게 높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큰 차이가 없지만 400%까지 상승가능성은 낮습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이랑 큰 틀의 사업은 비슷하지만 실제 사업이 다른 부분이 있어도 시가총액 8,000억까지는 상승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리소스 공모주 청약 분석 (121) | 2023.11.10 |
---|---|
한선엔지니어링 공모주 청약 분석 (67) | 2023.11.10 |
스톰테크 공모주 청약 분석 (67) | 2023.11.08 |
동인기연 공모주 청약 분석 (60) | 2023.11.08 |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공모주 청약 분석 (92)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