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삼익(삼익가구)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 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회사개요
스튜디오삼익 동사는 국내의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고객에게 가성비, 가심비 있는 자체 브랜드 제품을 제공하는 온라인 홈퍼니싱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스튜디오삼익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최정석 대표 30.45% 지분보유, 계열사 임원이자 삼익가구의 대표이사 장남 이재우 16.12% 지분보유, 삼익홈앤데코 6.72% 지분보유, 삼익티디에프 5.82%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기관투자자로는 신한벤처투자(구 네오플럭스) 신한-네오 Market-Frontier 투자조합 2호 이름으로 16.22% 지분보유, 한국투자파트너스 한국투자 바이오 글로벌 펀드와 한국투자 광개토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6.74%, 2.09% 지분보유, BNW인베스트먼트 아이비케이비엔더블유 기술금융 2018 사모투자 합자회사 이름으로 4.48% 지분보유, 미래에셋증권 4.48% 지분보유, 크릿벤처스 케이아이피-크릿 인터랙티브 콘텐츠 펀드 이름으로 3.71%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 보면,
추가 기관투자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스튜디오삼익 동사의 사업성을 인정받아 기관투자자들의 지분투자를 많이 받은것은 좋은부분이기도 하지만 기관투자자 지분이 47.1%로 오버행우려가 있습니다.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을 말하며, 스튜디오삼익 동사가 상장한 이후 기존 기관투자자들의 의무보호예수 해제기간인 1개월, 3개월 많은 물량이 쏟아져나올 수 있고 그렇게 될 경우 주가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사업개요
스튜디오삼익 동사는 국내의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고객에게 가성비, 가심비 있는 자체 브랜드 제품을 제공하는 온라인 홈퍼니싱 유통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스튜디오삼익 동사는 별도의 제조시설을 보유하지 아니하고 제조 협력업체를 통해 제품 생산을 진행하며, 온라인 홈퍼니싱 제품 디자인, 기획, 마케팅, C/S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동사는 적시생산 적시배송 체계 구축을 위해 제조 협력사, 물류 위탁업체간의 배송프로세스를 관리 및 감독합니다.
▷ 브랜드 라인업
① 삼익가구
스튜디오삼익 동사가 2019년 10월 10일 온라인 전용 사용권 계약을 통해 인수한 동사의 대표 브랜드로, 동사 인수 전 삼익가구 브랜드는 엔틱하고 중후한 디자인이 적용된 원목가구 전문 브랜드로 인지도가 높았으나, ㄷ동사 인수 후 원목가구에서 탈피하여 모던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보유하면서 2030세대 및 1인가구향 중저가 브랜드로 탈바꿈했습니다.
② 스칸디아
스칸디아는 2014년 이케아의 국내진출 이후 유행하기 시작한 스칸디나비안 스타일 프리미엄 브랜드로 다수의 매니아 소비자층을 보유하고 있었고, 동사는 2020년 스칸디아의 상표권을 인수한 후 에쉬컬러, 라이트 브라운 등 시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하는 컬러와 심플함이 특징인 미드 센추리 모던 스타일의 디자인 기법을 적용했으며, 기성세대향 원목가구 위주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밝은 2040세대향 중저가 가공목 가구위주로 재편했습니다.
③ 죽산목공소
본래 죽산목공소는 스튜디오삼익 동사 제품에 적요오디는 목자재를 수입, 유통하던 협력업체였으나, 동사는 죽산목공소의 원목자재에 대한 노하우, 컨텐츠 및 제품 기획역량과 동사의 유통 및 판매 역량간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판단하여 죽산목공소 브랜드를 등록했습니다.
④ 스튜디오슬립
스튜디오삼익 동사는 현재 스트레스, 카페인 과다섭취 등으로 수면 장애를 겪는 현대인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 세계적으로 수면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2023년 10월 수면전문 브랜드 스튜디오 슬립을 출시했습니다.
▷ 삼익가구 브랜드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 스칸디아 브랜드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
삼익가구와 스칸디아 브랜드 제품군별 매출을 보면 침실가구 매출 그 중에서도 침대 매출 비중이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습니다.
▷ 주요 상품 등의 현황
스튜디오삼익 동사는 가구를 제조하는 기업이 아니고, 외주를 주고 단순히 유통만 하고 있어 상품 매출만 나오고 있고, 스칸디아 브랜드를 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매출은 삼익가구 브랜드 매출이 90%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2021년 매출액 844억으로 전년대비 31.9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42억으로 전년대비 7.2% 증가했으며, 순이익 37억으로 전년대비 3.69% 증가했습니다.
매출액은 크게 증가했지만 매출원가율이 80.5%에서 82.11%로 증가했고, 판매비와 관리비도 20억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의 증가폭은 매출액 증가폭보다는 낮았습니다.
2022년 매출액 865억으로 전년대비 2.5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23억으로 전년대비 43.37% 감소했으며, 순이익 19억으로 전년대비 48.91% 감소했습니다.
이는 매출원가율이 82.11%에서 83.49%로 증가했고, 판매비와관리비도 10억정도 증가하면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감소했습니다.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10.2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22억으로 전년대비 12.78% 증가했으며, 순이익 19억으로 전년대비 3.68% 증가했습니다.
2023년 전체 매출액은 1,000억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스튜디오 삼익 동사의 경우 제품 제조를 하고 있지않아 재고 부담은 적을 수 있으나, 상품 매입, 매출만으로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의 큰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1월 25~26일
상장주간사 : DB금융투자
납입일 : 1월 30일
신규상장일 : 2월 6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4,500~16,5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966.9:1
확정 공모가 : 18,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760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1,078,548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유통물량은 25.52%로 적정한 편입니다.
상장주간사에서 상대가치 평가 방법 중 PER 방식으로 공모가 밴드 산정했으며, 유사회사로는 지누스, 시디즈, 오하임앤컴퍼니로 선정했고, 시가총액은 각각 3,200억, 500억, 800억입니다.
확정 공모가 기준 18,000원 기준 시가총액 760억, 공모가 60% 10,800원 기준 시가총액 456억, 공모가 400% 72,000원 기준 시가총액 3,042억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시가총액 3,200억을 기록하고 있는 지누스의 경우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6,701억, 영업이익 166억, 순이익 122억을 기록하고 있기때문에 400%까지 상승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웨더 공모주 청약 분석 (129) | 2024.02.13 |
---|---|
2024년 1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 현황 (150) | 2024.01.30 |
이닉스 공모주 청약 분석 (141) | 2024.01.19 |
현대힘스 공모주 청약 분석 (96) | 2024.01.16 |
포스뱅크 공모주 청약 분석 (10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