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넥트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버넥트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으로 나이스평가정보, 한국기술신용평가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아 코스닥 시장에 상장진행합니다.
기술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시장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3D 공간/객체 모델링
실공간/객체의 영상으로부터 3D 형상, 컬러 정보를 복원하고 공간 구조를 이해하는 기술로 실공간 조명 모델링 기술과 결합하여, 가상 객체의 고실감 Mixing에도 활용가능하며 Stereo depth estimation, semantic segmentation, 3D mesh 생선, mesh 분할 등이 대표적인 요소 기술임.
2. 3D 공간/객체 추적
현실 공간ㅂ에서 XR기기의 6자유도 자세를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기술로 XR 기기의 3D 위치를 알 수 있으면 XR기기가 움직일 때 실공간상에 표현된 가상 객체의 위치를 반대로 움직여서, 가상 객체가 마치 고정된 실제 사물처럼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Marker 기반 Tracking, Markerless 기반 Tracking이 대표적인 기술임.
3. 3D 인터랙션
실공간상에 삽입된 가상 객체를 마치 실제 객체처럼 편안한고 자연스럽게 조작할 수 있는 기술로 핸드 제스처 인식, 음성 인식, 시선 추적 기술 및 이를 조합한 멀티모달 인터랙션 등이 대표적인 요소 기술임.
4. 실사 수준 렌더링
현실 공간에 가상 객체의 모습과 움직임을 실사 수준으로 표현하는 기술로 실사수준 3D Graphics Rendering, Real World Light Environment 모델링,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loud-based rendering, DNN 기반 super sampling 등이 대표적인 요소 기술임.
5. 3D 휴먼 모델링
실제 사람과 동일한 모습으로 나의 움직임을 따라할 수 있는 아바타 모델링 기술로 원격지간 Extremely immersive feel of presence를 필요로 하는 모든 서비스에서 활용가능함.
6. Metaverse
Meta와 Universe의 합성어로 메타버스는 사람의 오감으로 느끼기에 실제 현실세계와 구분하기 힘든 수준으로 구현되는 가상의 세계
7. XR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핵심 기술을 일컫는 말로 VR, AR을 모두 표현하기 위한 용어로 확장현실이라고도 함.
8. VR
Virtual Reality의 약어로 메타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로 사용자가 가상의 세계로 들어가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VR 기기로는 메타(페이스북)이 인수한 오큘러스에서 만드는 퀘스트2, 소니 PS VR, 바이브 등이 있음.
9. AR
Augmented Reality의 약어로 메타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또 다른 기술로 사용자가 현실세계에서 가상의 세계, 객체를 경험할 수 있는 기술로 증강현실이라고도 하며,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고 있고 대표적으로 포켓몬Go 게임이 있음.
10. HMD
Head Mount Display의 약어로 컴퓨터를 탑재하거나 컴퓨터와 연결된 머리 장착형 또는 안경 형태의 디바이스로 AR HMD와 VR HMD로 구분되며, 현재 VR 기기 및 애플이 이번에 공개한 비전프로 또한 HMD로 제작됨.
11. 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어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특정 HW 및 운영체제용으로 특정 목적의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SW Source 코드, Resource 및 Tool 모음.
12. Digital Twin
디지털 트윈은 컴퓨터에 현실 공간/객체의 디지털 방식으로 복제를 만들고 현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함으로써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 기술
13. Computer Vision
컴퓨터 비전은 인간의 시각 기관인 눈이 할 수 있는 기능을 컴퓨터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이번에 애플이 공개한 비전프로에도 비슷한 기술이 사용되었음.
14. Cross-platform software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는 여러 종류의 컴퓨터 플랫폼 윈도우, 리눅스 등 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멀티플랫폼 소프트웨어라고도 함.
15. CAD
Computer-Aided Design의 약어로 설계, 생산 가공 분야에서 기본 개념 단계에서부터 최종 마무리 단계인 해석까지 전 과정에 걸쳐 컴퓨터를 활용하여 효율성, 생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오토캐드 프로그램이 있음.
16. Deep Learning
딥러닝은 사람에게는 자연스러운 일, 즉 예시를 통해 학습하는 것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머신 러닝 기법의 일종임.
17. 하드웨어 가속 기술
일반적으로 CPU를 통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중에서 하드웨어를 통해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경우 이를 하드웨어로 수행하는 기술
18. SIMD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의 약어로 CPU와 같은 하드웨어에서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하는 기법
19. WebRTC
Real-Time Communication의 약어로 드라이버나 플러그인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 간 P2P 연결을 통해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20. Media Streaming
미디어 스트리밍은 파일 다운로드 및 오프라인 재생이 아닌 즉각적인 재생을 위해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순차적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21. Docker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22. Container
컨테이너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실행하는 데 필요한 특정 버전의 프로그래밍 언어 런타임 및 라이브러리와 같은 종속 항목과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함께 포함하는 경량 패키지
▶ 회사개요
버넥트 동사는 자체 개발한 컴퓨터 비전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을 바탕으로 XR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며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XR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버넥트 동사의 지분 현황을 보면 하태진 대표 43.86%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기관투자자로는 한국산업은행 8.39% 지분보유, KB인베스트먼트 케이비 디지털 이노베이션 벤처투자조합, 케이비 지식재산 투자조합2호 이름으로 각각 7.22%, 5.87% 지분보유, 현재는 우리벤처파트너스인 KTB네트워크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 KTBN 13호 벤처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7.06%, 5.37% 지분보유, 스틱벤처스 스틱4차 산업혁명 Jump-up 펀드, 아이비케이-스틱 파이어니어펀드 각각 이름으로 2.36%, 0.66% 지분보유, 마그나인베스트먼트 2018 하나-마그나 스타트업펀드 이름으로 2.68% 지분보유, 롯데엑셀러레이터와 KDB산업은행의 컨소시엄 펀드 롯데-KDB오픈이노베이션펀드 이름으로 1.01% 지분보유, 롯데벤처스가 운용하고 롯데케미칼이 출자한 롯데케미칼ESG펀드 이름으로 1.01%지분보유하고 있으며 상장사 한화 10.08%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 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보면,

대표이사와 기관투자자 지분들은 상장이후 공모주식수 때문에 일부 희석화 되었지만 하태진 대표 37% 지분으로 낮아졌습니다.
이는 상장이후 추가로 유상증자 진행할 경우 대표이사 지분도 낮아지게 되기때문에 경영권이 넘어갈 우려도 있습니다.
또한 기관투자자들이 버넥트 동사의 기술력을 인정해서 지분투자를 많이 한것은 좋은 부분이기도 하지만 오버행 우려가 있습니다.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을 말하며, 동사가 상장한 이후 기존 기관투자자들의 의무보호예수 해제기간인 1개월 많은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고 그렇게 될 경우 주가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사업개요
버넥트 동사는 자체 개발한 컴퓨터 비전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을 바탕으로 XR 기술 트렌드를 선도하며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XR 솔루션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버넥트 동사는 가상으로 연결된 지식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의 업무 효율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고의 산업용 XR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① Virnect Remote
버넥트 동사가 자체개발한 Track이 제공하는 컴퓨터 비전 엔진을 기반으로 Remote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카메라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실시간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호 공유 및 AR 오브젝트를 증강할 수 있는 원격 현장관리 XR 솔루션
② Virnct Make/View
Track에서 제공하는 객체 검출과 추적 기능과 객체 학습 기능을 기반으로 다양한 파일 포맷 호환과 실시간 미디어 데이터 송수신을 보장하는 WebRTC가 결합된 디지털 정보 제작XR, 디지털 정보 시각화XR 솔루션
③ Virnect Twin
3D 랜더링과 IoT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기술이 결합되어 산업 현장의 현실 객체를 실시간 인식한 뒤 가상 공간에 AR 정보로 증강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3차원 디지털 트윈 솔루션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버넥트 동사의 제품 매출은 솔루션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에서 50%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1분기의 경우 솔루션 매출 비중은 29.15% 기타 매출 비중이 43.56%, 라이선스 매출이 12.51%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버넥트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을 하기때문에 손익분석이 의미가 없긴 합니다.
2021년 매출액은 35억으로 전년대비 63.83%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46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89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입니다.
2022년 매출액은 50억으로 전년대비 41.68%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141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84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입니다.
2023년 1분기 매출액은 11억으로 단순 연환산하면 2022년 매출액보다는 낮은 44억정도로 판단되지만 올해도 전년도와 비슷한 매출 기록을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7월 17-18일
상장주간사 : 대신증권
납입일 : 7월 20일
신규상장일 : 7월 26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1,500~13,6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824.1:1
확정 공모가 : 16,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686억
신규상장 첫날 유통 가능 주식수는 3,540,785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33.59%로 유통물량은 많은편입니다.
상장주간사에서는 유사회사 PER로 공모가 밴드를 산출했는데 플래티어, 링크제니시스, 비즈니스온, 브리지텍을 유사회사로 선정했습니다.
버넥트 동사는 산업용 XR 솔루션 사업을 영위하고 있기때문에 AR 기술기업인 맥스트, VR 기술기업인 스코넥 등을 유사회사로 선정했으면 좋았을텐데 두 기업 모두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PER를 활용해서 공모가 밴드는 산정하기에는 어려웠을거고 PSR이나 다른 부분으로 진행했으면 더 괜찮았을 거라는 판단이 됩니다.

버넥트 동사는 2025년 추정 순이익을 당겨서 공모가 밴드를 산정했지만 미래추정 순이익 당겨서 공모가 밴드 산정했던 상장했던 기업 대부분은 실적 예측치를 달성한 경우가 거의 없는 점 투자하실때 유의하셔야합니다.
또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지만 신규상장제도 가격제한폭이 변경이 되었습니다.
2023.06.09 - [주식이야기] -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상장에 대해서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드렸었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
november-3rd.tistory.com
확정 공모가 16,000원 기준 60% 9,600원 시가총액 1,011억, 400% 64,000원 시가총액 6,745억 즉 6,900~46,000원 상장첫날 이 가격안에서 움직일테지만 400%의 경우 시가총액 6,745억으로 상장되어있는 AR기업 맥스트 시가총액 2,200억대, VR기업 스코넥 시가총액 1,500억대를 기록하고 있어 400% 64,000원 기준 시가총액 6,745억은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400%까지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지트로닉스 공모주 청약 분석 (32) | 2023.07.21 |
---|---|
에이엘티 공모주 청약 분석 (24) | 2023.07.14 |
파로스아이바이오 공모주 청약 분석 (9) | 2023.07.13 |
뷰티스킨 공모주 청약 분석 (31) | 2023.07.12 |
6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현황 (22)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