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틸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넥스틸 동사는 2023년 첫 코스피 직상장을 진행합니다.
코스피 시장에 대해서는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코스피 시장으로 직상장하는 경우는 거의 없죠. 작년에도 LG에너지솔루션이 마지막이었던것 같네요.
2021.11.29 - [주식이야기] -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 KOSPI 란?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를 뜻하고 유가증권시장의 시장지수를 말하는거지만 흔히 투자자들이 유가증권시장을 코스피시장이라고도 합니다.
november-3rd.tistory.com
▶ 회사개요
넥스틸 동사는 강관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넥스틸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박효정 대표와 박영회 특수관계인 각각 62.99%, 8.59%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넥스틸홀딩스 유한회사 26.18% 지분보유, 하나증권 0.45%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주식수로 다시봐도 기관투자자 지분은 없습니다.
▶ 사업개요
넥스틸 동사는 강관의 생산과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넥스틸 동사의 주요 제품은 Oil & Gas 에너지 개발과 관련하여 유정에서 석유나 가스를 채유하는데 사용되는 미국석유협회 인증 유정관, 송유관을 제조하여 미국 등 전 세계에 수출판매하고 있으며, 이 밖에 물, 증기 등을 수송하는 배관용 강관과 조선, 건설 및 기계 장치에 사용되는 구조용/기계구조용 등의 강관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넥스틸 동사의 제품 매출 비중을 보면 흑관, 백관 관련해서 OCTG, 송유관, 구조관 매출 비중이 99%이상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2021년 매출액은 4,247억으로 전년대비 97.7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169억으로 전년대비 995.34% 증가했으며, 순손실 11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입니다.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것은 2,000억 매출이 나오면 영업이익 겨우 남는 수준이었지만 2배이상 매출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다만 금융비용 321억을 기록하면서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금융비용은 환율에 의한 환차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022년 매출액은 6,684억으로 전년대비 57.3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1,813억으로 전년대비 967.88% 증가했으며, 순이익 1,441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은 2021년 영업이익 크게 증가한것과 마찬가지로 매출액 규모가 커지면서 증가했습니다.
2023년 매출액은 2,316억, 영업이익 775억, 순이익 658억으로 단순 연환산해도 2022년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돌파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8월 9~10일
상장주간사 : 하나증권
납입일 : 8월 14일
신규상장일 : 8월 18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1,500~12,5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235.56:1
확정 공모가 : 11,5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2,990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6,851,000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26.35%로 유통물량은 적은편입니다.
상장주간사가 유사회사로 세아제강, 휴스틸 선정을 했고 각각 시가총액 4,368억, 3,371억이며, 휴스틸의 경우 1분기 매출액 2,476억, 영업이익 683억, 순이익 488억으로 넥스틸 동사보다는 낮은편이며, 세아제강의 경우 1분기 매출액 4,902억, 영업이익 785억, 순이익 620억으로 동사보다 낮습니다.
확정 공모가 11,500원 기준 시가총액 2,990억, 공모가 60% 6,900원 기준 시가총액 1,794억, 공모가 400% 46,000원 기준 시가총액 1조 1,960억이기때문에 400%까지 상승하기에는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무리라고 생각되지만, 유사회사들의 경우 1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넥스틸 동사보다 낮기때문에 넥스틸 동사 기업가치 5~6천억 평가 받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3년 코스피 직상장 첫 기업 넥스틸 400%까지는 무리지만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수요예측 참여한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큐레터 공모주 청약 분석 (25) | 2023.08.11 |
---|---|
스마트레이더시스템 공모주 청약 분석 (25) | 2023.08.09 |
빅토리콘텐츠 (빅텐츠) 공모주 청약 분석 (28) | 2023.08.04 |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공모주 청약 분석 (32) | 2023.07.31 |
코츠테크놀로지 공모주 청약 분석 (12)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