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셈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 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코셈 동사는 기술특례상장 기업으로 기술평가기관인 나이스평가정보와 한국발명진흥회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아 코스닥으로 상장합니다.
기술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시장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 회사개요
코셈 동사는 나노 단위의 미세물 분석을 위한 SEM(주사전자현미경)과 그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코셈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이준희 대표 19.2% 지분보유하고 있으며,
기관투자자로는 이노폴리스파트너스 이노폴리스공공기술기반펀드 이름으로 8.31% 지분보유, 스틱인베스트먼트 스틱4차산업혁명펀드 이름으로 8.46% 지분보유,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스마일게이트 H-세컨더리 1호 조합이름으로 6.46% 지분보유, 쿨리지코너인베스트먼트 씨씨브이씨코리아소부장펀드, 신한-CCVC 스타트업 세컨더리 펀드 이름으로 각각 5.15%, 3.3% 지분보유, IMM인베스트먼트 아이엠엠 세컨더리 벤처펀드 제5호 이름으로 6.2% 지분보유, 오엔벤처투자 오엔 제3호 세컨더리 투자조합 이름으로 5.28% 지분보유, 얼머스인베스트먼트 얼머스 2022 세컨더리 투자조합이름으로 4.22% 지분보유, 미래에셋벤처투자 미래에셋신성장좋은기업세컨더리투자조합18-1호 이름으로 4.22% 지분보유, OPTON LIMTED 3.85% 지분보유, 대덕벤처파트너스 대덕특구창업초기투자조합 이름으로 3.16% 지분보유, 메가인베스트먼트 메가트렌드스타트업2호 투자조합, 스마트대한민국메가청년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0.99%, 0.99% 지분보유, 키움증권 2.33%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보면,

추가된 기관투자자는 없습니다.
코셈 동사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관투자자들의 지분투자를 많이 받은것은 좋은부분이기도 하지만 오버행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동사 최대주주등 지분이 24.65%로 상장이후 유상증자를 진행할 경우 경영권이 넘어갈 우려가 있어 유상증자도 크게 못합니다. 적자가 지속되고 있기때문에 유상증자와 전환사채발행은 어려울 수 있고, 신주인수권부 사채 발행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을 말하며, 코셈 동사가 상장한 이후 기존 기관투자자들의 의무보호예수 해제기간인 1개월, 2개월, 3개월 많은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고 그렇게 될 경우 주가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사업개요
코셈 동사는 나노 단위의 미세물 분석을 위한 SEM(주사전자현미경)과 그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코셈 동사의 핵심 제품은 SEM(주사전자현미경), Tabletop 형태로 소형화된 주사전자현미경 및 전처리장비, 이온코터이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제품으로는 주사전자현미경 기술을 응용한 이온밀링 결합 주사전자현미경, 대기압 주사전자현미경 등이 있습니다.
대기업의 중앙연구소나 공동연구기관 등과 같이 전문가 수준의 사용자가 있어 전문적으로 측정 관찰을 하는 형태가 아닌 개별화된 연구실, 전문가가 없는 산업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자현미경의 소형화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코셈 동사는 2010년 초부터 이러한 트랜드를 파악하고 소형 전자현미경 시장에 집중하여 현재 Tabletop SEM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코셈 동사는 국내 영업은 직접 판매 및 딜러를 통한 간접 판매를 병행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의 경우 주요 24개국가 17개 대리점 및 11개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주요 제품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코셈 동사는 제품 매출이 전체 매출중에서 90%이상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Tabletop SEM 매출 비중이 70%이상 발생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코셈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을 하기때문에 손익분석은 의미가 없습니다.
2021년 매출액 94억으로 전년대비 9.65%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1.5억으로 전년대비 39.22% 감소했으며, 순이익 4.9억으로 전년대비 47.05% 증가했습니다. 이는 기타수익은 증가했고 기타 비용은 감소하면서 영업이익은 감소했어도 순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2년 매출액 125억으로 전년대비 31.98%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17억으로 전년대비 1,058.76% 증가했으며, 순이익 17억으로 전년대비 246.16% 증가했습니다. 이는 매출원가율이 57.97%에서 53.36%로 개선되면서 매출총이익이 증가했고 판매비와 관리비도 큰 차이가 없어 영업이익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89억, 영업이익 5억, 순이익 8.7억으로 2023년 전체 매출액 2022년과 비슷한 120억, 영업이익 7억, 순이익 10억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2월 13~14일
상장주간사 : 키움증권
납입일 : 2월 16일
신규상장일 : 2월 23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2,000~14,0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267.6:1
확정 공모가 : 16,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905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 1,987,770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35.89%로 유통물량은 많은 편입니다.
상장주간사에서 상대가치 평가 방법 중 PER 방식으로 공모가 밴드 산정했으며, 유사회사로는 파크시스템스, 엑시콘, 엔시스, 넥스틴, 이노메트리로 선정했고 시가총액은 각각 1조 2,200억, 1,800억, 1,000억, 6,800억, 1,000억입니다.
확정 공모가 16,000원 기준 시가총액 905억, 공모가 60% 9,600원 기준 시가총액 543억, 공모가 400% 64,000원 기준 시가총액 3,623억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코셈 동사와 비슷한 사업 원자현미경 사업을 하고 있는 시가총액 1조 2,200억을 기록하고 있는 파크시스템스의 경우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993억, 영업이익 177억, 순이익 165억을 기록하고 있어 400%까지 상승가능성은 낮습니다.
매출액 규모로 보면 코셈 동사가 89억으로 10배정도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시가총액 1,200~1,500억까지는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엔알시스템 공모주 청약 분석 (60) | 2024.02.23 |
---|---|
에이피알(APR) 공모주 청약 분석 (107) | 2024.02.14 |
이에이트 공모주 청약 분석 (147) | 2024.02.13 |
케이웨더 공모주 청약 분석 (129) | 2024.02.13 |
2024년 1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 현황 (150)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