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2편
원래 주식은 금융투자상품이고, 금융투자상품은 원금손실발생가능성이 있는 금융상품이라고 했었습니다.
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1편에서 이런 이야기들을 했었습니다.
2022.04.08 - [주식이야기] - 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1편
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1편
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1편 지난 글들에서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도 얘기드리면서 상장시장인 코넥스 KONEX 시장, 코스닥 KOSDAQ 시장, 코스피 KOSPI 시장이야기들과 함께 시장지수 이
november-3rd.tistory.com
2022년 1분기 1월 코스피 시장지수 12% 코스닥 시장지수 18% 하락이 나왔었고, 2월 러시아가 일으킨 전쟁으로 3월 4월까지 영향받고 금리인상에 대한 이슈들이 나오면서 증시가 하락과 횡보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증시 영향을 받아 공모시장도 많이 좋지 못해 일반기업 상장보다는 최근 스팩이 연이은 상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팩 SPAC 지분증권신고서를 보고 좀 더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4월 18~19일 공모청약 진행하는 신한제9호 스팩 지분증권신고서를 보겠습니다.

신한제9호스팩의 경우 80억을 모집을 하기로 했습니다.
주당 가격은 2,000원으로 정해졌으니까 공모로 400만주를 모집하겠다고 하는겁니다.
신주발행 및 상장절차에 드는 비용에 관해서도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공모자금 80억 기업인수목적 즉 M&A하는 곳에서만 써야하기때문에 그전까지는 신탁예치를 해야합니다. 은행같은 금융기관에 예치를 해둔다는겁니다.

추가로 경상운영비용과 합병비용 예상비용들도 기록을 해뒀습니다. 실제적으로는 더 들어갈 수 있지만 이정도는 비용이 발생하겠다고 미리 지분증권신고서에 기록해뒀습니다.
여기서 스팩 SPAC 투자 팁을 드리자면,
공모금액이 80억으로 정해졌으면 추후 M&A를 통한 기업인수가액도 80억보다는 아래에서 진행됩니다. 보통은 1:1 합병비율이 아니라 1:0.몇 비율로 합병이 진행되서 이정도 금액이면 시가총액 1,000억 미만 기업과 합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1,000억이상 시가총액 규모는 무리가 있고 1,000억미만에서 합병기업들을 찾아보게 될겁니다.

당장 공모자금을 기업 M&A 하는데 사용을 못하기때문에 80억이라는 공모자금 받으면 스팩 발기인과 운영하는 사람들이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은행에 신탁 예치를 해두도록 되어있습니다.
은행에 80억 예치를 하는 부분이지만 최대 36개월까지만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스팩 SPAC 이야기 1편에서 얘기드렸듯 스팩 SPAC의 경우 상장후 3년이내에 비상장기업 혹은 코넥스 기업과 M&A를 진행해야하는데 못한다면 상장폐지가 되기때문입니다.
지난 스팩 SPAC 이야기1편에서 얘기드렸었는데 상장폐지 되면 주당 2,000+소정의 이자를 받는다고 했었습니다. 은행에 예치하기때문에 주당 2,000원에 추가로 소정의 이자를 주는건데 최근 기준금리 올렸다고 해도 낮은 금리이기때문에 소정의 이자가 평균적으로 50원정도였던것같네요.
공모금액이 어느정도인지만 알면되고 공모금액을 어디에 사용하는지 어디에 예치하는지는 중요하지는 않긴합니다. 더 중요하게 봐야하는 부분이 있어 그 부분을 얘기드리겠습니다.
이게 정말 중요한 투자 포인트인데,
일반적인 기업에 투자를 할 때도,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보시면 좀더 도움이 되시는데 스팩 SPAC의 경우 기업과 합병해야하는게 목적이기때문에 임원과 직원 현황을 보시면 어느 산업의 기업으로 합병할지는 조금 알 수 있습니다.

신한제9호스팩의 대표 발기인으로 허찬종 이분이 있으며, 이분은 과거 삼성증권 애널리스트였다가 스카이투자자문 운용역으로 있습니다.
스카이투자자문의 경우 투자일임까지 등록을 한 상태고 상장주식을 위주로 운용을 하다보니 VC(벤처캐피탈) 혹은 창업투자회사처럼 과거 투자이력들이 제대로 나오지 않았지만 2011년 투자이력을 보면 은행, 건설과 자동차, 화학, 전기와 전자 업종에 투자한바 있습니다.
이런 이력을 토대로 본다면... 이번 신한제9호스팩도 기업 M&A 업종이 제조업, 화학업, 전기전자업이 가능성이 큽니다.
이렇게 임원들의 현황을 보고 과거 투자이력을 보면 어떤 업종에서 합병하게 될지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스팩 SPAC 투자의 경우 상장이후 장내에서 매수보다는 3년만기 예금 넣어둔다고 생각하고, 공모청약에서 많은 배정을 받아두시는게 좋습니다.
합병 성사되면 좋고, 합병성사 안되도 3년만기 예금처럼 소정의 이자도 받을 수 있기때문에 공모청약 당시에 투자를 해두시는게 좋습니다.
또한 스팩 SPAC 시스템 자리잡은기간도 있어서 스팩 많이 발행한곳은 10개이상 발행하기도 했기때문에 증권사들의 스팩 SPAC 발행이력과 합병성사이력들도 살펴보시면 좋습니다.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익의 90%를 배당하는 REITs 리츠 주식 2편 (0) | 2022.12.28 |
---|---|
이익의 90%를 배당하는 REITs 리츠 주식 1편 (2) | 2022.08.16 |
원금보장되는 주식? 스팩 SPAC 이야기 1편 (0) | 2022.04.08 |
시장지수 이야기 3편 (0) | 2021.12.04 |
시장지수 이야기 2편 (0) | 2021.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