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진엔텍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 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 회사개요
우진엔텍 동사는 상장사인 우진이 지분 53.15% 보유함으로써 우진의 자회사이며, 세종기업(주)의 원자력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한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전문기업으로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설비 진단, 성능개선을 포함한 종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비 서비스와 국산 시스템의 제작 및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분현황
우진엔텍의 지분현황을 보면 상장사 우진 53.15% 지분보유, 상장사 심팩 26.57% 지분보유, 상장주간사인 KB증권 3.62% 지분보유, 프렌드투자파트너스 9.99% 지분보유, 한림아이피 3.33% 지분보유, KAZUAKI ITO 1.67%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봐도
추가적인 기관투자자는 없습니다.
▶ 사업개요
우진엔텍 동사는 상장사인 우진이 지분 53.15% 보유함으로써 우진의 자회사이며, 세종기업(주)의 원자력사업부를 인수하여 설립한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 계측제어설비 정비전문기업으로 원자력 및 화력발전소의 설비 진단, 성능개선을 포함한 종합솔루션을 제공하는 정비 서비스와 국산 시스템의 제작 및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4년 고리 제2발전소 계측제어 설비 정비용역 수주를 시작으로 발전설비의 중추신경 계통인 계측제어설비 경상정비 분야에 진입했고, 경상정비 외 계획예방정비, 특수 정비 및 설비건전성 진단 등의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의 핵심 계측제어설비 기술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인재양성 등을 통해 계측제어설비 성능개선과 정비기술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었고, 미래먹거리로 원자력발전소의 해체시장 분야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3년 정부 유관기관에서 주관하는 2건의 원전해체 기술개발 국책과제 수행 기업으로 선정되어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에 착수했습니다.
▷ 사업분야
① 경상정비용역 사업
발전사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자격요건을 만족하는 우진엔텍 동사 보유 전문 기술인력을 통해 정상운전중인 설비의 이상유무 점검을 위한 상시 점검과 이상발생시 운전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즉각적인 정비 및 정상화 조치를 포괄적으로 수행하여 발전 시설의 원활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사업
② 계획예방정비용역 사업
각 발전사에서 수립된 정비계획과 관련법령 및 각종 기술 규격에 따라 발전설비의 가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계측제어설비의 분해 및 점검, 수리, 시험 등을 수행하는 사업
③ 시운전공사 사업
발전소 건설의 최종 단계인 시운전 기간 중 정비업무에 참여하여 건설단계에서 설치가 완료된 계측제어설비를 상업운전 시점까지 효율적으로 유지, 관리하여 향후 원활한 상업운전이 가능하게 하는 정비업무를 수행하는 사업으로 시운전공사 사업은 원자력발전소 위주로 진행되고 있음.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원자력발전 특히 대형원자력발전의 경우 안전에 대한 문제때문에 정부에 따라서 에너지믹스 정책들을 보면 원전에 대한 비중을 축소 또는 증가시키기 때문에 우진엔텍 동사의 매출도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의 매출 비중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2021년부터는 원자력발전소의 용역매출 비중이 전체매출에서 대략 60%가까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2021년 매출액 312억으로 전년대비 18.63%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49억으로 전년대비 406.1% 증가했으며, 순이익 44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이는 우진엔텍 동사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이 대략 250억이기때문에 훨씬 많은 매출이 나오면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22년 매출액 373억으로 전년대비 19.6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56억으로 전년대비 14.59% 증가했으며, 순이익 47억으로 전년대비 6.51% 증가했습니다.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30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0.8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 5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3.07% 증가했으며, 순이익 4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2.08% 증가했습니다. 매출액 10% 증가했는데 영업이익 43% 증가한것은 매출원가율이 75.26%에서 71%로 낮아지면서 매출총이익 크게 증가했기때문입니다.
2023년 전체 매출액은 400억, 영업이익 70억, 순이익 55억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손익분석을 통해서 보면 실적 성장이 50%, 100% 크게 나오지 않고 있는데 이는 원자력발전소와 화력발전소를 국가에서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없기때문에 성장의 한계가 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1월 16~17일
상장주간사 : KB증권
납입일 : 1월 19일
신규상장일 : 1월 24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4,300~4,9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263.32:1
확정 공모가 : 5,3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491억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1,648,000주로 전체주식수 대비 17.78%로 유통물량은 적은편입니다.
상장주간사에서는 상대가치 평가 방법 중 PER 방식으로 공모가 밴드를 산정 했으며, 유사회사로는 한전KPS, 수산인더스트리, 일진파워, 금화피에스시로 선정했고, 시가총액은 각각 1조 4,900억, 2,600억, 1,700억, 1,500억입니다.
확정 공모가 5,300원 기준 시가총액 491억, 공모가 60% 3,180원 기준 시가총액 294억, 공모가 400% 21,200원 기준 시가총액 1,965억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시가총액 1,700억을 기록하고 있는 일진파워의 경우 2023년 3분기까지의 매출액 1,403억, 영업이익 130억, 순이익 106억을 기록하고 있기때문에 상장 첫날 주가 400%까지 상승가능성은 낮아보이지만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도 낮고 유통물량도 적기때문에 400%찍고 바로 내려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뱅크 공모주 청약 분석 (100) | 2024.01.15 |
---|---|
에이치비인베스트먼트 공모주 청약 분석 (88) | 2024.01.15 |
12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 현황 (30) | 2023.12.25 |
디에스단석(구 단석산업) 공모주 청약 분석 (32) | 2023.12.13 |
11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 현황 (124) | 202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