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랩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와이랩 동사는 성장성 특례 상장 즉 테슬라요건으로 평가기관인 한국평가데이터, 이크레더블로부터 각각 AA, A 등급을 받아 상장진행합니다.
성장성 특례와 기술특례 상장은 비슷하면서도 다른 부분입니다. 2017년 도입되었는데 테슬라요건이라고도 불렸으며 2017년 도입된 성장성 특례는 현재 유의미한 실적을 거두지 못하는 기업도 상장주관사가 사업 성장성이 있음을 인정하고 한국거래소에 추천하면 상장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이며,
기술특례상장처럼 사업 모델에 대해서 평가정보기관 2곳에서 평가받아서 상장합니다.
와이랩 동사는 2023년 테슬라요건으로 상장하는 1호기업입니다.
기술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시장글에서 애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웹툰 CP
CP는 Contents Provider의 약어이며 특정 웹툰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거나 또는 대행하여, 플랫폼에 해당 웹툰이 연재 또는 유통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주체이며, CP는 제작사의 상위개념입니다. 제작사가 아닌 CP는 판권유통사, 발생사 등으로 지칭할 수 있습니다.
2. 웹툰 제작사
웹툰의 제작을 수행하거나 제작에 참여하여 해당웹툰의 저작권 또는 사업화에 대한 권리 중 전체 또는 일부를 영구적 도는 한정 기간 보유하는 주체입니다. 웹툰 에이전시 및 스튜디오의 상위 개념입니다. 제작사의 제작방식에 따라 에이전시형 제작사, 스튜디오형 제작사 또는 복합형 제작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웹툰 에이전시
외부의 창작자와 어느 형태이든 계약을 하여 해당 창작자의 특정 웹툰 제작에 참여하는 주체가 에이전시입니다. 에이전시의 제작 참여는 기획, 투자, 제작지원 및 자문 범위에서 전체 또는 일부일 수 있습니다. 제작에 있어서 에이전시의 기획 또는 자문 참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것이 추세이며, 해당 역량이 에이전시형 제작사간 경쟁우위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4. 웹툰 스튜디오
법인 또는 사업자의 기획 하에 고용한 창작자가 업무상으로 웹툰을 제작하여, 해당 웹툰 저작물의 저작자가 그 법인 또는 사업자가 되는 제작방식을 수행하는 주체가 스튜디오입니다. 스튜디오도 제작 범위에 따라서 아트 스튜디오, 각색 스튜디오, 스토리 스튜디오 또는 복합 스튜디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5.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제작 주체가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하나로 이해될 수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여서 대중 또는 소비자들에게 이러한 융합을 경험하게 하는 콘텐츠 전개입니다.
6. OSMU
One Source Multi Use의 약어로 특정 콘텐츠를 원저작물로 하여 일반적으로 원저작물의 제작 주체와 상이한 제3자가 이종의 미디어 포맷으로 각색 제작하는 방식입니다.
7. 노블코믹스
웹툰 제작주체가 웹소설 저작권자로부터 이용허락을 받아서 해당 웹 소설을 원저작물로 한 2차저작물인 웹툰을 제작하는 구조입니다.
▶ 회사개요
와이랩 동사는 웹툰 저작물의 기획 및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 웹툰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저작물의 기획 및 제작 부문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했습니다.
▷ 지분현황

와이랩 동사의 지분현황을 보면 윤인완 대표 22.13% 지분보유, 네이버웹툰 12.02% 지분보유, CJ ENM 12.01% 지분보유, LB인베스트먼트 LB유망벤처산업펀드 이름으로 9.34% 지분보유, 펄어비스 5.65% 지분보유, 네시삼십삼분 4:33 United-코나 청년창업투자조합 이름으로 4.71% 지분보유, 포스코기술투자 포스코문화융합콘텐츠펀드 이름으로 3.5% 지분보유, TGCK파트너스 TGCK콘텐츠투자조합2호 이름으로 3.14% 지분보유, 키움증권 3.14%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이후 유통가능 주식수로 다시보면

소액주주도 나오지만, 추가로 기관투자자 포지티브인베스트먼트 포지티브세컨더리 벤처투자 조합 제1호 이름으로 1.94% 지분보유, 아이피파트너스와 비엠벤처스 컨소시엄 펀드 비엠-아이피투자조합1호 이름으로 1.63% 지분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이후 대표와 임원들의 지분이 30%미만인 28%로 유상증자를 또 진행할 경우 경영권이 넘어갈 위험도 있습니다.
와이랩 동사의 성장성을 인정받아 기관투자자들의 지분 투자를 많이 받았던 점은 좋은 부분이기도 하지만, 오버행 우려가 있습니다.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을 말하며, 동사가 상장한 이후 기존 기관투자자들의 의무보호예수 해제기간인 1개월, 3개월 많은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고 그렇게 될 경우 주가는 크게 하락할 수 있습니다.
▶ 사업개요
와이랩 동사는 웹툰 저작물의 기획 및 제작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웹툰 플랫폼인 네이버 웹툰 등을 주요 거래처로 두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저작물의 기획 및 제작 부문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했습니다.
와이랩 동사는 웹툰 CP 중에서도 스토리를 포함한 제작공정 전부문을 내재화하여 고도화한 스튜디오 중심의 선구적 웹툰의 제작사입니다. 동사는 특히 오리지널 스토리 제작부문의 내재화 및 고도화를 통해 제작하는 웹툰의 상당 비중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여, 다수의 웹툰 IP를 연계한 세계관 스토리텔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와이랩 동사는 웹툰 IP 저작권자이자 동시에 방송영상물 제작사에 해당합니다. 이는 웹툰 또는 방송영상물 산업 내 동사의 특징적인 경쟁우위에 해당합니다.
와이랩 동사는 단일 제작 주체 하에 웹툰 및 영상 콘텐츠 스토리텔링 역량 또는 조직을 체계화하고 연계하여, 대중에게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와이랩 동사는 자회사인 와이랩아카데미를 통해 웹툰 작가 또는 제작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있습니다.
▷ 연재 이력

패션왕, 아일랜드 등 유명 웹툰도 연재를 했었습니다.
패션왕은 영화로도 만들어졌었고, 아일랜드는 OTT 티빙에서 웹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습니다.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와이랩 동사의 매출을 보면 웹툰 제작 매출과 영상제작 매출이 전체 매출 비중에서 크게 차지하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와이랩 동사는 테슬라요건 성장성특례 상장기업으로 손익분석이 의미가 없습니다.
2021년 매출액은 216억으로 전년대비 303.18%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10억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이익 4.5억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습니다. 이는 금융수익이 크게 발생하면서 순이익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매출액 297억으로 전년대비 37.51% 증가했으며, 영업손실 4.3억으로 적자지속, 순손실 5.7억으로 적자전환했습니다.
2023년 1분기 매출액은 37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6.58% 감소했으며, 영업손실 4.6억으로 적자지속, 순손실 3.9억으로 적자지속입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7월 10~11일
상장주간사 : 한국투자증권
납입일 : 7월 13일
신규상장일 : 7월 20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7,000~8,0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821.64:1
확정 공모가 : 9,0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424억
상장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5,940,937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37.53%로 유통물량은 많은 편입니다.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지만 상장 첫날 따상은 없고 확정 공모가 기준 60~400% 범위로 상장첫날 하루종일 움직일 수 있습니다.
2023.06.09 - [주식이야기] -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 상장 따상은 이제 옛말, 대신 상장 첫날 400% 수익도 가능!! 신규상장에 대해서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드렸었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
november-3rd.tistory.com
와이랩 동사의 사업성장성은 인정받아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많이 받았지만 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 물량도 많고, 1개월, 3개월 뒤 보호예수 해제되면서 오버행이 될 수 있습니다.
상장주간사에서는 유사회사 평균 PER를 가지고 공모가 밴드를 산정했는데, 와이랩 동사는 순손실을 기록하고 있어 2025년 추정순이익을 가지고 공모가 밴드 설정했습니다.

상장주간사에서 유사회사 선정을 디앤씨미디어의 경우 잘했지만, 영상콘텐츠 기업인 스튜디오드래곤, 삼화네트웍스로 선정한 부분은 논란이 될만합니다. 그래서 고평가 논란이 있기도 합니다.
확정 공모가 9,000원 기준 시가총액 1,424억, 60% 5,400원 시가총액 854억에서 400% 36,000원 시가총액 5,698억이며, 상장사 디앤씨미디어의 경우 1분기 매출액 161억 영업이익 8.8억, 순이익 8.6억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시가총액 2,100억대를 기록하고 있어 400%까지 상승은 고평가라고 판단되어 가능성이 낮습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여했던 기관투자자 대부분 미확약으로 상장 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 물량 쏟아져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뷰티스킨 공모주 청약 분석 (31) | 2023.07.12 |
---|---|
6월 신규상장 기업 상장 첫날 수익현황 (22) | 2023.07.12 |
센서뷰 공모주 청약 분석 (10) | 2023.07.10 |
필에너지 공모주 청약 분석 (12) | 2023.07.04 |
이노시뮬레이션 공모주 청약 분석 (16) | 202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