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by 미틈달사흘 2021. 11. 29.
반응형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 이야기


자료 : adobe stock

 

▶ KOSPI 란?

KOSPI(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를 뜻하고 유가증권시장의 시장지수를 말하는거지만 흔히 투자자들이 유가증권시장을 코스피시장이라고도 합니다. 

 

유가증권 코스피시장은 1956년 개장을 했으며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POSCO, LG전자 등 세계적인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 대형 우량기업들의 꾸준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시가총액 2,000조 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400조 원이기 때문에 삼성전자가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에서 25~30%정도 차지하고 있긴하지만 유가증권 KOSPI 코스피 시장은 성장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개 기업의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때문에 주가만 보고 당일 KOSPI 코스피 시장지수가 하락인지 상승인지 알 수 있는거기도 하죠.

 

▶ KOSPI (유가증권시장, 코스피시장) 역사

 

1956년 유가증권시장이 개설되었고 주식시장에서는 제1시장이라고 불립니다. 당시에는 상장회사가 12개 뿐이었습니다. 

 

증권업무의 전산화로 증권시장의 인프라를 구축완료한 시점이 1997년이었으며 주식하는 사람들 대부분 여의도에서 근무한다고하는데 1974년 현재 증권예탁원의 전신인 증권대체결제주식회사를 설립했고, 증권의 전산화을 위해 1977년 증권전사주식회사를 서립했으며 1979년 유가증권시장 본부를 여의도로 이전해서 여의도가 한국의 월스트리트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추후 시장지수 얘기드릴 때도 자세히 얘기드리겠지만 KOSPI 코스피 시장지수 기준점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으로 시작했습니다. 

 

2021년 KOSPI 코스피 시장지수 3,000P (3,000포인트) 돌파도 했었는데 1980년 1월 4일 기준점 100P (100포인트) 대비 시장이 30배 성장했다고 알 수 있습니다.

 

▶ KOSPI 코스피 유가증권 시장 상장 요건

 

자료 : KRX 홈페이지

 

KOSPI 코스피 유가증권시장은 주식 제1시장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코넥스 시장과 코스닥 시장 얘기드렸었는데 상장요건이 더 까다롭습니다.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2021.11.14 - [주식이야기] - 코넥스 이야기2편

 

코넥스 이야기2편

코넥스 이야기2편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코넥스 이야기1편(Feat.K-OTC)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개인투자자라면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코넥스시장도 코스닥 시장도 적자기업이 상장할 수 있는 시장이었다면 KOSPI 코스피 유가증권 시장은 적자기업은 상장할 수 없으며, 코스닥 시장의 경우 IT(Information Technology), BT(Bio Technology), CT(Culture Technology) 산업이 상장되어있었다면, KOSPI 코스피 유가증권 시장의 경우 금융업, 농업, 중공업, 건설업, 제조업 등 국내 굵직한 기업들이 상장하는 곳으로 한국 경제를 이끌었던 산업들에 속한 기업들이 상장하는 시장입니다.

 

추가로 코스닥에서 코스피 시장으로 이전상장으로 인해 IT 산업에 속하는 NAVER와 카카오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있습니다. 또한 여기에 셀트리온 기업도 바이오 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었지만 코스피 시장에 이전상장했습니다.

 

▶ 주린이들의 투자팁

 

유가증권 코스피 시장은 제1시장으로 굵직한 기업들이 상장되어있는 시장이기도 하지만 거래량이 현저하게 적은 기업들이 있어 일평균 거래량이 적은 기업들 주당가격이 100만원이라면 괜찮은데 그 이하에서 하루에 1,000주 거래되거나 그보다 더 아래 거래되는 경우 

 

내가 사고 나중에 팔고싶을때 팔 수가 없어 거래량이 적은 코스피 시장 기업은 투자에서 제외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또한 투자자들의 성향에 따라서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투자하는 것이 다달라집니다.

 

코넥스 시장은 상장시장이지만 K-OTC 처럼 장외 시장에 더 가깝다고 봐야하고 코스닥 이전상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을 원한다면 코넥스 시장에서 시가총액 상위에 있는 기업들을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시는게 맞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좀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하고싶다면 코스피시장 기업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안정적으로 투자를 하시는게 맞고, 코스닥 시장 물론 코스피 시장도 테마주 매매를 하실 수 있지만 테마주의 경우 시장에서 반짝 떠올라서 큰 상승으로 

 

21년 11월의 경우 NFT(Non-Fungible Token), 메타버스 테마 관련 기업들이 큰 상승이 지속되다가 다시 관련기업들의 주가가 확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처럼 테마주 매매는 변동성이 커서 다이나믹하고 단기적으로 재미를 느끼시려면 코스닥 시장의 종목위주로 진행하시는게 맞습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지수 이야기 2편  (0) 2021.12.01
시장지수 이야기 1편  (0) 2021.11.29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0) 2021.11.27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0) 2021.11.22
코넥스 이야기2편  (0)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