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메카 공모주 청약 분석
상장과 비상장, 공모절차에 대해 지난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04 - [주식이야기] -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 이해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이해하기 공모청약을 하기전에 상장과 비상장에 대한 부분을 알아둬야합니다. ▶ 상장 유가증권시장, 코스닥, 코넥스 시장에 상장절차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되면 증권사
november-3rd.tistory.com
2021.11.07 - [주식이야기] -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공모 절차 이해하기 지난글에서 상장과 비상장에 대해서 얘기를 하면서 상장절차와 상장종류, 상장기업의 상장효과 등에 대해서 얘기를 했었습니다. 2021.11.04 - [공모파헤치기] - 상장과 비상장
november-3rd.tistory.com

뉴로메카 동사는 기술성장기업 특례로 상장하는 기업으로 기술평가기관인 기술보증기금과 이크레더블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아서 기술특례상장을 진행합니다.
기술성장기업 특례상장에 대해서는 지난 코스닥 글에서 얘기드렸습니다.
2021.11.22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1편 국내 주식 상장시장은 코스피(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시장이 있으며, 코넥스에 대해서는 2편의 이야기로 얘기했었습니다. 2021.11.13 - [공모파헤치기] - 코넥스 이야기1
november-3rd.tistory.com
2021.11.27 - [주식이야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KOSDAQ 코스닥 이야기 2편 지난번에는 코스닥 시장에 대해서 얘기해드렸고, 코스닥 시장 특징, 상장요건 이런 부분을 얘기했습니다. 2021.11.22 - [공모파헤치기] - KOSDAQ 코스닥 이야기1편 KOSDAQ 코스닥
november-3rd.tistory.com
▶ 용어정리
1. 협동로봇
작업 공간을 사람과 공유하는 산업용 로봇
2. 산업용로봇
6개 내외의 관절로 구성된 다관절 로봇
3. 다관절로봇
관절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관절의 구동을 제어하여 로봇의 특정 위치에 장착된 도구의 운동을 제어하는 기계 장치
4. 이더캣
고속 실시간 다축 동기화 분산제어를 위한 표준 산업용 필드버스 프로토콜
5. 이더캣 마스터
이더캣 프로토콜에 의해 실시간 분산제어를 관장하는 마스터 장치
6. 이더캣 슬레이브
데이지-체인 방식으로 연결되어 이더캣 마스터의 제어에 순응하여 실시간 제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7. 동역학 연산 알고리즘
로봇의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관절의 힘을 계산하는 복잡한 알고리즘
8. 임피던스 제어 알고리즘
엔드이펙터에 장착된 도구의 동역학을 가상의 질량-댐퍼-스프링처럼 변환시키는 고성능 제어 알고리즘
9. 실시간 제어엔진
로봇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10. 시뮬레이션 엔진
로봇의 운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11. TP
티치펜던트라고 하며 로봇의 프로그래밍을 위한 대표적인 휴먼-로봇 인터페이스 장치
12. 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어로 상위 레벨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SW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라고도 하며 보통 개발툴이라고도 합니다.
13. 모터의 전류제어
모터의 출력 토크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
14. 모터드라이버
모터의 위치 또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15. 직접교시
로봇의 관절을 물리적으로 힘을 가해 관절을 이동시켜 원하는 경로점을 지정하는 협동로봇의 로봇 모션 프로그래밍 방식
16. 스마트 액추에이터
프레임리스모터, 하모닉드라이브 감속기, 마그네틱 브레이크, 멀티턴 저대치엔코더, 이더캣 슬레이브 제어보드, 모터드라이버 등이 중공축 구조로 결합된 관절 구조 모듈
17. 자동화 SI
SI는 System integration으로 시스템 통합이라고도 하며, 고객이 원하는 자동화 공정을 분석하고, 로봇을 중심으로 주변장치들을 설계하고, 로봇 제조업체로부터 로봇을 구입하여 설치하고, 공정프로그램을 작성한 후 턴키 방식으로 고객에게 전달하는 일
18. 다품종 변량생산
짧은 생산주기 하에 다양한 제품을 바꿔가며 생산하는 방식
19. 자율이동로봇
로봇이 자신의 위치를 스스로 파악하여, 자율적으로 목표를 추종하는 바퀴로 구동되는 로봇
20. 델타로봇
관절들이 병렬 구조로 연결되어 엔드이펙터의 도구의 위치를 제어하는 특수한 병렬형 로봇
21. 프레임리스 모터
모터의 로터와 스테이터 부품으로 구성되는 키트 모터
22. 하모닉드라이브
저하중 로봇에서 많이 사용되는 고정밀 감속기
23. 마그네틱 브레이크
자기력에 의해 관절에 제동력을 부가하는 장치
24. 멀티턴 절대치 엔코더
관절의 현재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센서
25. 중공축 구조
가운데 구멍이 나서 신호나 전력 케이블이 통할 수 있는 구조
26. 제노마이
리눅스에서 구동되는 오픈소스 실시간 운영체제
27. 이더랩
제노마이에서 구동되는 오픈소스 이더캣 마스터 소프트웨어
28. CoE 프로토콜
이더캣을 통해 구현된 CANOpen 프로토콜
29. CAN
Controller Area Network의 약어로 분산된 모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
30. 그리퍼
엔드이펙터에 장착되어 물건들을 집기 위한 기구장치
31. 6축 F/T센서
손목에 장착되어 엔드이펙터에 가해지는 힘과 모멘트 측정
32. 린 생산방식
미국의 MIT 연구그룹이 1990년대 일본 도요타 JIT 생산 방식을 벤치마킹하여 미국 환경에 맞춰 재정립한 기법으로 기업의 모든 활동에서 낭비와 지연을 제거하여 비용 및 자원 관점에서 군살 없는 경영체제 구축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운영시스템
33. 이격모니터링
로봇과 사람과의 거리를 모니터링해서 로봇의 운용 속도를 조절하는 안전기법
34. PFL 모드
실시간으로 로봇의 운동을 조절하여 사람에게 가해지는 파워와 힘을 제한하는 안전 기법
35. 머신텐딩
머시닝 장비들에 시편들을 반복적으로 로딩/언로딩 하는 공정
36.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이동로봇에 다관절 로봇팔이 장착됨.
37. RaaS
로봇 자동화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서비스로 공급받는 비즈니스 모델
38. 인디PD
뉴로메카 동사의 협동로봇 전문가 직군으로 SI, 로봇 티칭, 기술이전/전수를 시행
39. 기구학 캘리브레이션
로봇 조립상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관절 조립 오차를 보상하는 기법
40. 에이징
액추에이터 및 로봇 조립 후 최적의 운동 성능을 가지도록 장시간 구동하는 행위로 쉽게 길들이기를 말함.
▶ 회사개요
뉴로메카 동사는 중소 제조기업에 요구되는 다품종 변량생산 체제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핵심제품인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협동로봇 기술의 한 분야만 연구개발해온 국내 대표 협동로봇 자동화 원천기술 기업입니다.
▷ 지분현황

뉴로메카 동사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많이 받은것을 확인해볼 수 있으며, 다올인베스트먼트 (구 KTB네트워크) KTBN8호 투자조합 이름으로 8.22% 지분보유, 한국항공우주 KAI-ONE IT 1호 이름으로 5.87% 지분보유,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먼트 KDB-LH 중견기업연합펀드1호 이름으로 5.12% 지분보유,
DSC인베스트먼트 DSC 유망서비스 산업펀드, DSC 드림X청년펀드 ,DSC Follow-on 성장사다리펀드, DSC초기기업스케일업펀드 이름으로 4.14%, 2.32%, 1.82%, 1.67% 지분보유, NH투자증권 신탁업자지위로 3.87% 지분보유,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코오롱 2020 소재부품장비 투자조합 이름으로 3.43%, KT KT전략투자조합4호 이름으로 3.42%, 더웰스인베스트먼트 더웰스 딥테크 1호 투자조합과 더웰스-IBKC 오픈이노베이션펀드 이름으로 각각 3.03%, 0.98% 지분보유,
원익투자파트너스 원익 2015 Hidden Oppotunity 투자조합, 2016 Hidden Oppotunity 투자조합이름으로 각각 2.81%, 2.56% 지분보유, 유안타증권 2.68% 지분보유, NH투자증권 신탁업자 지위로써 2.04% 지분보유, 한국산업은행 1.72% 지분보유, IBK중소기업은행 2.39% 우선주로써 보유, 한국투자파트너스 KIF-한국투자 지능정보 투자조합, 한국투자 유망서비스산업투자조합, 한국투자 Ace 투자조합, 한국투자 Future 투자조합, 한국투자 High 투자조합 이름으로 각각 1.72%, 1.72%, 0.85%, 0.85%, 0.85% 지분보유, 티와이파트너스 0.55% 지분보유했습니다.
개인투자자도 지분투자 한것으로 나오네요.
뉴로메카 동사의 기술력을 인정해서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많이 받은것은 좋은부분도 있지만 오버행 우려도 있습니다.
오버행이란?
주식시장에서 언제든지 매물로 쏟아질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 물량 주식을 의미하며, 보통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 사업개요
뉴로메카 동사는 중소 제조기업에 요구되는 다품종 변량생산 체제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핵심제품인 협동로봇을 개발하고, 협동로봇 기술의 한 분야만 연구개발해온 국내 대표 협동로봇 자동화 원천기술 기업입니다.
협동로봇 플랫폼을 개발하여 중소 제조기업 등에 공급한다는 점에서 보면 뉴로메카 동사는 제조기반 B2B 딥테크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주요 제품

▷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뉴로메카 동사의 매출은 제품 매출이 크게 나오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협동로봇 인디 제품에 대한 매출이 전체매출비중에서 70%대였다가 50%대로 떨어지고 용역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손익분석

뉴로메카 동사는 기술특례상장을 진행하기때문에 손익분석이 의미가 없긴합니다.
2020년 매출액은 40억으로 전년대비 43.63% 감소했고, 2021년 매출액은 73억으로 전년대비 80.81% 증가했습니다. 다만 2019년 매출액이 72억이었던것을 생각해보면 2020년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업들의 투자가 많이 되지 않았고 2021년 투자가 늘어나면서 매출이 증가한것으로 판단됩니다.
2022년 반기까지의 매출액은 4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1.25% 증가했으며, 2022년 전체 매출액은 단순연환산해도 92억정도로 100억가까이 매출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공모분석
공모청약일 : 10월 26~27일
상장주간사 : 대신증권
납입일 : 10월 31일
신규상장일 : 11월 4일
사측제시 공모가 밴드 : 14,000~16,900원
기관 수요예측 경쟁률 : 1,652.13:1
확정 공모가 : 16,900원
확정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 1,665억
신규상장 첫날 유통가능 주식수는 3,365,845주로 전체 주식수 대비 34.15%로 유통물량은 적정한 편입니다. 다만 기관투자자들의 물량들이 많기때문에 보호예수 1개월, 2개월, 3개월 해제되는 시점에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어 단기로 보시는게 좋습니다.
기술력을 인정받았기때문에 기관투자자들이 투자를 많이 받은것은 좋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행 우려 그리고 매출액 70~100억을 기록하고 있는것으로 보면 기존 상장되어있는 로봇 기업들의 경우 시가총액 1,200억 수준인 로보로보 1,500억 수준인 유진로봇 이런 기업들도 있기때문에 확정 공모가 16,900원 기준 시가총액 1,665억자체는 적정하지만 따블시작시 3,331억, 따상기록시 4,330억으로 고평가로 판단되어 따상 가능성은 현저하게 낮습니다. 최근 로봇ETF 상장에 대한 이슈와 로봇 테마들이 상승세가 나와주고 있어 로봇 관련주로써 따상을 기록하더라도 금방 풀릴 수 있습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대부분 미확약이기때문에 상장첫날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들의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습니다.
'공모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티앤씨알오 공모주 청약 분석 (0) | 2022.11.01 |
---|---|
윤성에프앤씨 공모주 청약 분석 (2) | 2022.10.31 |
제이아이테크 공모주 청약 분석 (0) | 2022.10.25 |
큐알티 공모주 청약 분석 (0) | 2022.10.21 |
저스템 공모주 청약 분석 (0) | 2022.10.18 |